TV 홈쇼핑에 상품을 납품하는 업체에 적용되는 수수료율이 기업 규모에 따라 13.8%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TV 홈쇼핑 외에 백화점·마트 등 주요 대형 유통업체들디 대기업보다 중소·중견기업에 더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런 내용의 ‘대형 유통업체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간은 2018년 한 해로, 조사 대상은 백화점(6개), TV홈쇼핑(7개), 대형마트(5개), 온라인몰(7개), 아웃렛(6개), 편의점(5개) 등 6개 업태 36개 브랜드다.
모든 업태에서 대기업보다 중소·중견기업에 더 높은 실질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었다. 대·중소기업 간 실질수수료율 격차가 가장 큰 업태는 TV홈쇼핑으로 13.8%포인트였다. 가장 낮은 업태는 백화점(2.0%포인트)이었다.
조사 결과 실질수수료율(상품판매총액 중 실제 납품업체가 부담하는 수수료 총액 비중)이 가장 높은 업태는 TV홈쇼핑(29.6%)이었다. ‘을’인 납품업체가 매출의 3분의 1에 달하는 수수료를 부담했다는 뜻이다. 이어 백화점(21.7%), 대형마트(19.6%), 아웃렛(14.7%)·온라인몰(10.8%) 순으로 나타났다. 실질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업체는 NS홈쇼핑(39.1%), 롯데백화점(22.7%), 이마트(20.4%), 뉴코아아울렛(20.3%), 티몬(13.2%)으로 각각 집계됐다.
공정위 관계자는 “실질수수료율은 모든 업태에서 작년보다 하락하는 등 일부 개선이 있었다”며 “다만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실질수수료 격차는 여전히 커 중소 납품업체의 수수료 부담이 여전히 크다”고 지적했다. /세종=나윤석기자 nagij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