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이동 인구가 지난 1976년 이후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구조가 고령화하고 경제 성장이 예전만 못하면서 인구 이동의 활동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9.13 대책 등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규제가 주택 매매를 위축시켰고, 그 결과 인구 이동이 줄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 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는 710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3,000명(2.6%) 줄었다. 이동자 수는 지난 1976년 이후 가장 낮다. 인구 이동은 행정구역상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것을 의미한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의미하는 인구이동률도 13.8%로 지난 1972년 11% 이후 가장 낮았다.
특히 정부의 9.13 대책 등 부동산 규제에 따른 주택시장 위축이 인구이동 감소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주택에 의한 전입 사유가 1년 전보다 16만3,000명 줄었다”면서 “신규 입주 예정 아파트가 11.6%, 5만3,000건 가량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이사, 즉 인구 이동이 크게 줄었다는 설명이다.
인구구조 변화도 영향을 줬다. 김 과장은 “인구 이동이 많은 20~30대 인구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고, 이동 성향이 낮은 60대 고령 인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대별 인구이동률을 보면 30대가 23.1%로 가장 높고 30대가 21%로 그 다음이다. 60대는 8.7%, 70대는 6.6%에 그친다. 저성장이 고착화 된 점과 교통 수단이 크게 발달한 점도 인구이동을 감소시킨 원인으로 꼽힌다. 과거 가족 단위로 이동하던 데서 개인이 이동하거나 먼 거리에 있는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게 가능해졌다는 의미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