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12번째로 확진된 중국 국적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일본에서 감염된 채 국내에 입국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보건당국이 당혹스러운 모양새다.
특히 이 환자가 의료기관에 “일본에서 확진자와 접촉한 적이 있다”며 스스로 신고하기 전에는 해당 환자의 입국 사실이나 확진자 접촉 여부 등을 국내에서는 전혀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날 확인된 12번째 환자는 지난달 19일 일본에서 김포공항으로 들어온 중국 국적 49세 남성이다. 경기도 부천시 거주자로 확인됐다.
현재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나 질본에서는 이 남성이 일본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한다. 단 일본에서 확진 환자와 접촉한 사실은 확인했으나 일본인 환자와 함께 바이러스에 노출된 건지, 일본인 환자로부터 전파된 2차 감염인지는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12번 환자는 입국 후 이날 확진까지 보건당국의 방역망 바깥에 있었다. 이 기간 우리 정부는 일본으로부터 이 환자에 대한 별다른 정보를 얻지 못했다. 이 환자가 중국 국적이었기 때문에 일본 현지에서 확진자와 접촉했다는 정보는 중국에만 통보됐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중국 국적이기 때문에 일본은 접촉자에 대한 통보를 중국에만 한 것으로 안다”며 “우리 정부는 환자분의 신고를 받고 나서 일본 정부에 접촉자가 맞는지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국제적인 감염병 위기 속에서도 인접국 간 공조가 원활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국외에서 감염된 외국인이 국내에 들어왔을 때, 국내 방역망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정 본부장은 “입국할 때 모든 검역을 다 받는다”며 “국적이 중국인이기 때문에 어디를 가더라도 중국에 대한 여행력, 문진 등이 진행됐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기존 중국에 한정됐던 방역망을 일본 등 신종코로나 발생 국가 전체에 가동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검역 시 단순히 중국 여행력뿐만 아니라 중국에 다녀온 사람을 만난 적이 있느냐도 확인해야 하지 않느냐는 얘기다.
정 본부장은 “사례정의를 어떻게 변경할지는 계속 논의 중인 상황이나 지나치게 리스크를 확대할 경우 오히려 진짜 의심 환자를 놓칠 수 있다”며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가장 적절한 그물망이 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원기자 joowonmai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