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기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을 다녀온 유학생들이 신학기를 앞두고 대거 입국하면서 국내 대학들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격리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입국하지 않는 유학생들에 대한 원격 수업과 함께 한학기 휴학 권고 등의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기숙사 격리를 두고도 유학생들의 반발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휴학 등을 적극적으로 권유할 경우 더 큰 갈등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6일 대학가에 따르면 호남대 등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광주시 소재 대학들은 기숙사 중 일부를 격리동으로 활용하기로 하고 내부시설 재배치 등 준비를 하고 있다. 광주 11개 대학에 학적을 둔 중국인 유학생은 2,551명인데 이 중 2,000여명이 입국을 하지 않은 상태다. 충남 지역 대학들도 미리 확보해둔 기숙사나 학교 밖 시설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이 임시로 생활하도록 할 방침이다. 경북도 내 24개 대학도 오는 3월 개강에 맞춰 입국하는 중국인 유학생 1,301명을 2주간 기숙사에 격리하기로 결정했다. 이달 초 서울 주요 대학도 한국으로 돌아올 중국인 유학생을 격리하기 위해 기숙사 일부 혹은 전체를 비우라고 학생들에게 통보했다.
일부 대학은 기숙사를 두고 학생들과 극심한 진통을 겪고 있다. 연세대의 경우 퇴거기한을 고작 1주일 남기고 학생들에게 퇴실을 통보해 원성을 샀다. 한양대도 기숙사 건물 중 하나를 격리시설로 정해놓고 한국인 학생 전체에게 16일간 퇴실하라고 요청했다가 항의를 받자 잔류 신청을 받기로 했다.
격리시설 규모와 비용 등 현실적 여건을 이유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도 있다. 우선 격리는 1인 1실이 기본이지만 대학 기숙사는 통상 2∼4인실이기 때문에 이를 혼자 사용하는 것만 해도 체류 비용이 배 이상 들어간다.
관련기사
이날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확대회의 후 정부 차원의 ‘중국 입국 유학생 보호·관리 방안’을 내놨다. 교육부는 우선 입국이 어려운 학생들의 경우 중국 내에서 원격수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안내하거나 휴학을 허용 및 권고할 방침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은 “입국이 어려운 학생들을 중국내에서 원격수업을 적극 활용하도록 안내하거나 휴학을 허용 및 권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입국 시에 는 특별입국절차에 따라 검역을 강화해 유학생의 건강상태를 철저하게 확인하고, 입국 즉시 학교 담당자에게 보고하도록 했다. 입국한 유학생의 경우는 14일인 등교중지 기간 동안 대학이 매일 학생의 증상 유무를 확인하고, 기숙사 또는 자가에 머물면서 최대한 외출을 자제하도록 지도하도록 했다.
기숙사에 입소하는 학생의 경우 1인 1일 배정을 원칙으로 하되 증상발생 여부를 매일 모니터링 하도록 했다. 원룸 등 자가에서 거주하는 학생의 경우 2주간 외출 및 접촉을 자제하도록 하고, 학교에서 1일 1회 이상 증상 유무를 모니터링 하도록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입국 후에도 14일간 대학과 지자체·방역당국 간 긴밀한 협력체계 아래 관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날 정부가 내놓은 대책의 경우 유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와 실효성 논란 등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 유학생이 대거 휴학하게 되면 대학의 등록금 수입이 줄어 치명타를 입는 지방 대학의 반발도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자가에서 거주하는 학생에 대한 모니터링은 지자체 보건 인력 등 전문가가 직접 관리 감독을 하지 않을 경우 제대로 된 효과를 내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유학생 가운데 중국인 유학생은 7만1,067명으로 44.4%에 달한다. 중국인 학생이 1,000명 이상인 서울 주요 대학의 경우 전체 외국인 유학생 대비 중국 학생 비율이 60%, 많게는 70%가 넘는 곳도 있다. /박홍용·한동훈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