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이 수익률 조작과 불완전 판매로 조 단위의 손실을 기록하며 환매를 중단한 펀드 플루토 F1 D-1호의 회수율이 최대 51%로 5,800억원 이상의 손실이 날 것으로 조사됐다. 회수가 가능한 돈은 절반 수준이다. 돈을 맡긴 고객들은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게 실사보고서의 평가다.
2일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라임자산운용 플루토 F1 D-1호 실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삼일회계법인은 이 펀드의 기초자산 1조 2,042억원 가운데 6,222억원에서 8,414억원만 회수가 가능한 것으로 산정했다. 회수율이 51.7%~69.9%로 최대 손실은 48.3%, 5,820억원에 달한다.
구체적으로 기업금융에서 회수 가능 금액은 4,511억원~6,019억원(65.1%~86.9%)이다. 부동산금융에서는 1,710억원~2,395억원(33.5~69.9%)을 회수 가능금액으로 평가했다. 부동산금융의 최대 손실률은 66.5%에 달한다.
라임 사태는 지난해 7월 라임자산운용이 코스닥시장 상장 기업들의 전환사채(CB) 등을 편법으로 거래하며 수익률을 조작한 의혹에서 시작했다. 지난해 10월에는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던 모펀드 4개와 자펀드 174개가 편입된 기업들의 주식가격 하락으로 환매를 중단하며 사실상 파산했다. 라임자산운용에 돈을 맡겼던 고객들의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라임 사태와 관련해 현 정권 인사들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일면서 검찰 수사도 진행되고 있다.
곽상도 의원은 “1조6,000억원이 부실하고 황당한 데 투자되어 증발했는데 금융당국의 감시체계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이라며 “메트로폴리탄에 투자됐다 사라진 2,000억원의 종착지가 어디인지도 검찰이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참여연대 출신 김경율 회계사도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라임펀드가 2017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투자했던 기업 14개의 주가 현황을 공개하며 “해당 업체들 전체로 보면 1조917억 원을 조달해 설비투자 등에는 불과 866억 원을 쓸 뿐이고 고용에 미치는 효과는 14개 업체 모두 합해 7명에 불과했다”고 주장하며 실사보고서 공개를 요구했다.
라임펀드가 투자했던 기업들이 줄줄이 거래정지 등 상장폐지 위기에 처한 점을 지적하며 현 정부의 벤처 활성화 정책이 라임의 비정상적인 펀드운용을 가능케 했다는 의혹이다. 김 회계사는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도 투자 자료들을 열람조차 못 하게 하지는 않았다”며 “금융 당국이 적절한 관리·감독을 못해 피해를 키워 온 만큼 지금 곧 실사보고서를 공개하라”고 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