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티씨는 1996년에 설립된 커버글라스, 커넥터 등의 휴대폰 부품생산 업체다. 2010년부터 강화유리 사업을 시작해 2013년 3D 커버글라스를 세계 최초 양산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2019년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로 커버글라스를 납품해 현재까지 해당 부품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
김준환 연구원은 “대외변수에도 불구하고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폴더블, 차량용으로의 3D 커버 글라스 확장성을 감안하면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밝혔다.
이어 “제이앤티씨는 코로나19 위기속에도 올해 1분기 매출액 1049억원, 영업이익 369억원을 기록하며 놀라운 실적을 달성했다”며 “3D 커버 글라스 매출비중이 71.3%까지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3D 글라스는 제이앤티씨를 포함해 글로벌 4개 업체만 양산 가능한 부품으로 높은 공정기술과 투자 비용비용(월 100만대당 약 800억원 소요)을 감안할 경우 벤더 다변화 리스크는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또 “미중무역 분쟁 재점화에 따라 주력 중화권 고객사의 스마트폰 점유율 하락 우려가 있으나 P, 메이트 등의 2019년 중화 고객 플래그쉽 판매량은 약 4400만대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53% 증가한 것을 봤을때 제이앤티씨의 호실적 기조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by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