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시작된 ‘그린뉴딜’ 사업 중 하나로 전국 1,200여개 산업단지에 친환경에너지 시설을 접목하는 ‘산업단지에너지스마트화’가 낙점됐다.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산업단지를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혁신거점으로 탈바꿈시키는 정책을 시행 중인데 여기에 친환경까지 접목해 시너지를 노린다는 계획이다.
24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산단에너지스마트화를 그린뉴딜 사업으로 선정한 뒤 세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산단에너지스마트화는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더한 지능형전력망(스마트그리드)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는 등 산단 전체를 친환경화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산단 자체를 일종의 스마트시티처럼 만들기 위해 각종 인프라를 깐다는 개념”이라며 “산단은 다량의 산업폐기물을 발생시키고, 특히 노후 산단은 온실가스 발생량도 많은 만큼 청정생산설비 설치가 산단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린뉴딜 대상으로 산단이 선정된 데는 정부의 최우선과제인 일자리 창출거점으로 산단이 적합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지난 1월 현재 전국 1,212개 산단에 입주한 총 10만786개 기업의 고용인원은 215만7,000명인데 이는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고용인원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이에 이미 고용효과가 큰 산단에 친환경 인프라 설치 같은 사업을 진행해야 고용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는 복안인 것이다. 산단이 전국 각지에 퍼져 있는 만큼 지역 일자리 확대에도 유리할 것으로 봤다.
실제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산업부·국토교통부·고용노동부 등은 지난해 11월부터 산단을 지역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혁신 중심으로 바꾸는 ‘산단 대개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 최근 산단 입주자격을 도박 같은 사행성 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으로 확대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변경해 문턱을 대폭 낮췄다. 기계나 금속·전자 등 기존 제조업 중심의 산단을 전장·바이오·로봇 등 신산업으로 확대하려는 목적이다. 스마트 공장과 유휴자원 공유, 빅데이터 분석을 더하는 산단스마트화 인프라가 상당 부분 진행된 점도 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부 내에서 산단같이 집적 이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을 기준으로 삼아 계속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크게 확대하려는 정부 입장에서는 전국 산단을 통해 공공 신재생에너지 수요를 늘릴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실제 지난해 6월 현재 전국 산단 347개 기업에 약 100㎿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가 구축된 상태다. 이에 대해 산업부 측은 “그린뉴딜 사업은 관계부처와 협의가 더 필요하며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뉴딜’ 사업으로 산업지능화를 1순위에 놓고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있다. 산업지능화는 기존 제조업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5세대(5G) 통신을 접목한 것이다. 첨단기술 접목을 통해 위축된 제조업을 살리는 한편 고용창출 측면에서도 디지털보다 제조업이 큰 만큼 가장 적합하다는 판단에서다. /세종=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