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기업대출 연체율이 일제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은행 대출이 크게 늘어난 상태에서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대출 부실화 ‘후폭풍’에 대한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총여신 연체율은 전달보다 모두 0.02%포인트씩 상승했다. 은행별로 4월 말 0.21~0.33%였던 연체율은 지난달 말 0.23~0.35%로 올랐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이 0.22~0.38%에서 0.24~0.41%로 은행별로 0.02~0.05%포인트 올랐다. 특히 4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중소법인 연체율 상승폭이 대기업·개인사업자보다 두드러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코로나19 자금지원 대책이 대기업, 소상공인에 집중되면서 중소기업은 소외된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16~0.32%에서 0.17~0.33%로 전달보다 0.01~0.02%포인트 올랐다. 일부 은행은 변동이 없었다.
은행권에서는 연체율의 상승폭이나 절대적인 수치가 아직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다만 겉으로 드러나는 지표만으로 은행의 대출 건전성을 예단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한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주체들의 타격이 은행 연체율에 오롯이 반영됐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일환으로 신규 대출과 기존 대출의 상환 유예, 만기 연장 등이 이뤄진 상황이어서 대출 부실화 위험이 높은 취약 차주라도 연체 진입 시점이 최대 6개월 늦춰질 수 있다.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를 기준으로 집계되는 연체율 통계에는 바로 잡히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한 시중은행의 여신부문 부행장은 “코로나19 금융지원과 금리 하락으로 총대출액이 빠르게 늘면서 지금은 연체율이 크게 오르기 어려운 구조”라면서도 “각종 상환 유예가 끝나면 연체 추이를 장담하기 어려운 만큼 지금부터 선제적으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