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롤모델이 된 K방역을 위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추적·치료 시스템에서 사생활 침해 논란을 없애며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GPS·무선랜·블루투스·기압계·관성센서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집해 기록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기반으로 해 사생활 침해 논란을 최소화하며 신속한 역학조사와 격리자 관리 등이 가능하다.
한동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신용카드 내역 등을 통해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사생활 노출 우려를 막을 수 있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앱&웹)’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돼 있는 GPS와 와이파이·블루투스·관성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신호를 보관했다가 2주가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한다. 개인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저장된 기록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경우에도 문자로 표현되는 장소 정보가 아닌 신호 정보를 공개하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3개로 구성돼 있는데 우선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은 확진자의 동선과 개인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동선의 중첩 여부를 체크해 이뤄진다. 사용자가 수시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버튼을 눌러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쉽고 빠르게 체크할 수 있다.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신호를 지도상에 표시해줘 역학 조사관이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실내외 통합 위치 인식시스템의 기능도 적용됐다. 실내지도와 신호지도가 준비된 건물에서는 건물 내부에서도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격리자 관리 시스템’에서는 GPS 신호뿐 아니라 무선랜 신호를 사용해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의 확진자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 교수는 “약 30종의 스마트폰마다 탑재된 센서의 종류가 다양해 이번 시스템을 이식하고 시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조만간 출시 계획을 밝혔다. 신성철 KAIST 총장도 “의료진 등 방역 분야 종사자들의 수고와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사생활 침해 논란도 없애 K방역의 우수성을 다시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