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업계가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미국과 독일 등은 과감한 유동성을 지원해 일자리와 기업 생존에 총력을 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항공업계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지원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주요국의 코로나19에 따른 항공산업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항공사 자산 대비 지원 비율이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현재 대한항공(003490) 1조2,000억원, 아시아나항공(020560) 1조7,000억원 등 대형항공사(FSC)에 2조9,000억원을, 저비용항공사(LCC)에 3,0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정부 지원을 받은 항공사 7곳의 작년 말 기준 자산 합계가 44조9,0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자산 대비 7.1%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주요국의 항공업계 지원은 더 과감하다는 것이 전경련의 설명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미국은 250억달러(약 30조4,000억원) 규모의 여객항공사 임금지원 프로그램(PSP)을 마련해 일자리 지키기에 나섰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아메리칸, 델타 등 주요 6개 항공사 기준으로 213억달러(약 25조원)를 지원했으며 이는 항공사 자산 대비 10% 수준에 달한다. 별도의 대출 프로그램(250억 달러 규모)도 운영 중이다.
독일은 기간산업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해 루프트한자에 총 90억유로(약 12조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루프트한자 자산 규모(427억유로)의 21% 수준이다. 프랑스 역시 지난 9일 항공우주산업에 150억유로(약 20조원)를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밖에 싱가포르는 싱가포르항공에 130억유로(약 16조원)를 지원했고 이탈리아와 포르투갈 정부는 알리탈리아와 TAP항공 국유화를 위해 각각 30억유로(약 4조원)와 12억유로(약1조6,000억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주요국은 항공산업이 중요 기간산업이라는 인식 아래 최우선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기간산업안정기금, 채권매입기구(SPV) 등을 적극 활용해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세제 개편과 시장에 의한 산업 재편을 지원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항공산업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