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의 모바일인증서가 한 달 동안 가입자 100만명을 끌어모으며 출시 11개월 만에 4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달 국회에서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통과된 후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만한 민간인증서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됐다는 평가다. 허인 국민은행장의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국내 은행권에서는 처음으로 자체 인증서를 만들어 시장 공략에 일찌감치 나선 점도 주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민은행은 연내 1,000만명 가입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앞으로 공공기관과의 연계 방안을 찾아 나선 상태다.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0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에 따르면 오는 12월10일 이후 공인인증서는 완전히 폐지된다.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기능은 사라지고, 민간인증서도 기존 공인인증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공인인증서 대체 시장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2015년부터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이 폐지돼 ‘카카오페이’와 ‘패스(PASS)’ 등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증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정작 은행권에서는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뒤늦게 2018년 은행연합회와 16개 은행이 은행권 공동 인증서비스인 ‘뱅크사인’을 내놓았지만 가입자는 30만명에 그치고 있다.
관련기사
국민은행은 기존 민간인증서의 불편한 점에 주목해 발급절차를 간단하게 하고, 거래시 필요한 OTP와 보안카드도 없애며 경쟁력을 높였다. 무엇보다 언택트(비대면)에 집중했다. 첫 거래 고객도 영업점 방문 없이 본인명의 휴대폰과 신분증만 있으면 모바일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했다. 발급시간은 1분. 기존 공인인증서와 뱅크사인이 각각 1년, 3년의 유효기간으로 재발급 번거롭다는 점에서 갱신 절차도 없애 편리성을 높였다. 기업은행이 비슷한 방식의 인증서를 내놓았지만 이체한도가 5,000만원(디지털OTP 등록시 5억원)이고, 유효기간이 3년이라는 점에서 국민은행과 비교된다는 평가다. 모바일뱅킹에만 주목한 다른 민간인증서와 달리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PC 기반의 인터넷뱅킹에서도 연동이 가능하다. 특히 KB손해보험을 시작으로 카드·증권 등 다른 계열사에서도 거래가 가능하도록 통합인증 환경을 구축하고 있어 범용사용 기대감도 높다.
다만 기존 공인인증서와 달리 공공기관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전자정부 서비스 가운데 공인인증서를 요구하는 사이트가 35개가량”이라며 “정부와 협업해 정부24·국세청 등에서도 KB모바일인증서가 사용될 수 있도록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종호기자 joist189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