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자국 기업의 유턴을 적극 지원하고 나선 가운데 한국은 뚜렷한 리쇼어링(해외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성과가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각종 규제가 그대로인 상황에서 몇 가지 인센티브를 준다고 해서 막대한 자금을 들여 해외 생산기지를 국내로 회귀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미국·유럽연합(EU)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리쇼어링 현황 분석’ 자료에서 한국의 ‘리쇼어링 지수’를 측정한 결과 역외생산 의존도가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쇼어링 지수는 미국 컨설팅 업체 AT커니(Kearney)가 개발한 지표로 미국 제조업 총산출 중 아시아 14개 역외생산국(중국·베트남·필리핀 등)으로부터 수입하는 제조업 품목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플러스는 리쇼어링 확대를, 마이너스는 역외생산 의존도 증가를 의미한다.
미국의 리쇼어링 지수는 지난 2011년부터 계속 마이너스에 머물다 지난해 98로 반등하며 최근 10년 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경련이 동일한 방법으로 한국의 리쇼어링 지수를 측정한 결과 지난해 -37로 나타났다. 2017년(-50)보다는 높지만 2018년(-11)보다는 낮다.
전경련은 또 미국이 아시아에 치우쳐 있던 글로벌공급망(GVC)을 분산시킨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아시아 지역 의존도가 높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지난해 제조업 총산출은 2018년과 큰 차이가 없지만 아시아 14개 역외생산국으로부터의 수입은 7%(590억달러) 감소했다. 특히 대중국 제조업 수입이 전년 대비 17%(900억달러) 감소해 탈중국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반면 한국은 지난 10년간 대중국 제조업 수입 의존도가 연평균 7%씩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증가 폭이 점점 줄며 베트남이 이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대베트남 제조업 수입은 전년 대비 9.6%(17억달러)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아시아 14개 역외생산국에 대한 수입은 중국이 60%, 베트남 12%, 대만 9%, 나머지 국가들이 각각 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전경련은 EU도 유턴기업이 증가하며 일자리가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EU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총 253개 기업이 유턴했고 이 중 제조업은 85%를 차지했다.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