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통계청이 지난 21일 발표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를 보면, 작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총 국부는 1경 6,621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6.8%(1,057조7000억원) 늘었다.
국민 대차대조표는 매년 말 기준 가계·기업·정부 등 우리나라 경제 주체가 보유한 국내·외 자산을 모두 더한 국부를 합산한 지표다. 우리 경제가 쌓아온 재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1995년부터 집계해왔다.
전체 국부 중 국내 주택 시세의 합인 주택 시가총액(명목)은 5,056조 7,924억원으로, 한 해 전(4,709조 6,118억원)보다 7.4% 증가했다. 집값이 국부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셈이다.
국내 집값 시가총액은 2000년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었고, 2006년에 2,000조원을 돌파했다. 통계 집계 이래 집값 시가총액이 전년 대비 줄어든 때는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단 한 차례밖에 없었다.
김대중 정부 말기와 노무현 정부 시절에 해당하는 2002∼2007년에는 매년 10% 이상 시가총액이 불어났다. 특히 2002년(1,321조4,267억원)에는 한 해 전보다 무려 16.8% 늘어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제 성장세와 견줘 주택 시장이 얼마나 활성화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명목 GDP(국내총생산) 대비 시가총액 배율은 지난해 2.64배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 배율은 2005년 처음으로 2배를 넘은 뒤 4차례를 제외하고는 매년 상승했다.
이 배율이 올랐다는 것은 경기보다 주택 시장이 비교적 더 호조를 나타냈다는 뜻이다. 한국의 명목 GDP 성장률은 최근 들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명목 GDP 성장률은 2017년 5.45%에서 2018년 3.40%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GDP 성장률이 1.1%(1,898조2,000억원→1,919조원)로 2018년의 3.4%(1,835조7,000억원→1,898조2,000억원)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 기간 집값 시가총액이 크게 불어난 반면 명목 GDP 성장률은 둔화하면서 배율이 높아진 것이다.
/손철기자 runiro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