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14%, 미세먼지 배출량의 13.8%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가 지구 온난화와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이 되는 것은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로 쓰기 때문이다. 산업기술의 꽃이라 불리는 내연기관차가 기후변화 시대를 맞아 퇴출 압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실제 영국·중국·프랑스·인도 등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은 내연기관차의 판매 중단을 앞다퉈 선언하고 있다. 특히 영국은 오는 2035년까지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한 모든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한다.
전 세계 자동차 생산시장은 급격히 재편 중이다. 탈내연기관과 함께 전기차나 수소차 같은 미래 친환경차 생산과 보급이 빠르게 이뤄지기 때문이다. 2025년 세계 전기차 시장은 판매 기준으로 연간 1,100만대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도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을 2030년까지 33.3%, 2040년까지 80%로 확대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4일 발표한 그린뉴딜을 통해서는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 등의 미래차가 보급되고 이를 위해 총 20조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약 20년 전 우리는 대도시의 심각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천연가스(CNG)버스를 보급한 경험이 있다. 현재 노선버스 98% 이상이 경유 버스를 대체한 CNG 버스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정부는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을 기후변화 대응뿐 아니라 신산업 육성 측면에서 중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해 미래차 보급에 더욱 속도를 냈다. 그 결과 수소차는 올해 상반기까지 총 7,703대가 보급됐다. 지난 한 해에만 4,189대를 보급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확산 실적을 보이기도 했다. 전기차도 13만대가 보급됐다. 외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지만 미래차가 차지하는 비중(0.5%)은 여전히 크지 않다. 그린뉴딜의 친환경 모빌리티 보급 확대 사업은 미래차의 본격적인 대중화를 겨냥하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우선 누구나 손쉽게 미래차를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구매 보조금 지급시한을 최대 2025년까지 연장하고, 충전요금 부과체계도 개선할 참이다. 충전소 확충, 공동주택 등 충전기 의무 대상 확대 등도 중점 추진 사업이다.
미래차 보급은 국민과 기업이 모두 동참할 때 성공할 수 있다. 다행히 최근 국민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4년 내 자동차 구매계획이 있는 사람 중 29.2%가 미래차를 구매할 의사를 보였다. 현재 경유차를 타는 사람의 63%는 다음 차량 구매시 미래차를 선택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늘어난 미래차 수요에 발맞춰 생산을 확대하고 다양한 차량을 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해야 한다. 정부도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저공해차 보급 목표제를 강화하고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미래차에 이용되는 에너지도 더욱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공급돼야 한다. 운행 단계에서 미래차는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기와 수소 등 미래차의 연료를 생산하는 과정은 그렇지 않다. 발전에 사용하는 화석연료 대신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기 생산으로 전환하고, 수소 또한 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하도록 바꿔나가야 한다.
몇 년 전만 해도 미래차는 말 그대로 미래의 이야기로만 보였다. 하지만 배터리 기술 발전 등으로 멀게만 느껴지던 미래가 이제 눈앞의 현실로 다가왔다. 미래차는 우리가 미래에 타게 될 자동차가 아니다. 내일을 위해, 우리의 지구를 지키기 위해 오늘부터 타야 할 차다. 그린뉴딜 정책이 미래차 대중화를 위한 마중물이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