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면서 우리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KOTRA는 18일 ‘코로나19 이후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대응방안’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중국에서는 비대면·무인 서비스가 일상화되고 해당 플랫폼 수요가 늘며 디지털 전환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방역과 조업 재개를 계기로 경기 부양에 나서는 등 디지털 경제 육성을 전면 추진하고 있다.
또 정부와 기업 모두 디지털 경제의 뼈대인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이다. 중국 정부는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인터넷 등의 분야를 ‘신형 인프라(신SOC)’로 지정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민간 기업은 투자에 나설 뿐 아니라 기업·스타트업 협업을 통해 디지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 제조업, 농업 등 전 산업 생산 분야에서 디지털화가 추진되고 있다. 도·소매, 요식·숙박, 물류, 교육, 문화 등 서비스 분야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한 새로운 업태가 나타나고 있다. 제조 분야도 산업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공장을 비롯해 로봇, 스마트그리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는 등 전환세가 빠르다.
소비 역시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중국 디지털 소비의 특징으로는 △온라인 소비 플랫폼의 다양화 △온·오프라인을 접목한 O2O(Online to Offline) 소비 확대 △디지털 소비 쿠폰 등 디지털 방식 소비 정착을 꼽을 수 있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코로나19가 중국의 디지털 경제 전환을 앞당기고 있다”며 “급부상하는 중국 디지털 생태계를 이해하고 우리 기업이 한발 앞서 대응한다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용기자 jy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