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올해 67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자리도 67만8,000개가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쇼크에 따른 경기침체를 완화하려면 ‘경제 성장의 선순환 구조(투자→고용→소비)’에서 출발점인 투자를 유인하고 활성화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코로나19 충격의 경제 부문별 영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코로나19 경제 충격이 2·4분기에 본격화하면서 기존 정상 성장경로 대비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67조2,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하고 일자리는 67만8,000만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원은 앞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하향 조정했는데 이 같은 시나리오에서 코로나19 경제 피해액을 조사했다. -0.5%의 성장률은 지난 1998년 외환위기(-5.1%), 1980년 오일쇼크(-1.6%)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외 경제전문 기관 중 일부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0% 안팎으로 더 낮게 전망한 곳들도 있어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피해는 더 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서비스업 침체가 1·4분기에 상대적으로 컸다면 2·4분기 이후로는 제조업의 불황 강도가 크게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서비스업 생산 증가율은 지난해 4·4분기 1.9%에서 올해 1·4분기와 2·4분기에 각각 -1.1%, -3.4%로 하락 전환했다. 제조업 생산 증가율은 1·4분기까지 5.5%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2·4분기에 -5.2%로 급락했다. 제조업 중에서는 중후장대 업종인 자동차·철강·유화 산업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충격은 노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60세 이상 노년층 고용률은 전년 대비 0.9%포인트 오른 반면 중장년층(30~59세)은 1.3%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도 1.4%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 일자리가 더 큰 타격을 받았다. 7월 취업자 수를 살펴보면 여성 일자리는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해 남성(-0.7%)을 크게 웃돌았다.
노동 시장에서는 월급을 받는 근로자보다 자영업자의 충격이 심각했다. 임금 근로자 중에서는 임시·일용직, 자영업자에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는 분석이다. 임금 근로자 일자리는 7월 기준 지난해 동월 대비 9만3,000개 감소한 반면 자영업 일자리는 12만8,000개가 줄었다. 특히 고용원 있는 자영업 부문의 일자리가 17만5,000개나 감소했다.
연구원은 향후 코로나19 유행 지속 기간을 예측하기 어려워 “지금처럼 높은 재정지출 의존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없다”며 “재정 투입 대상을 명확히 하고, 지출 규모를 적절히 해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경기침체 강도를 완화하려면 투자 인센티브 강화와 규제 개선 등 투자 유인책을 획기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지원기자 j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