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 수는 30만2,700명이다. 지난 2018년보다 2만4,100명(7.4%) 감소했다. 지난 1980~1990년대 한 해 출생아 수가 60만~70만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셈이다. 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0.92명으로, 2018년 0.98명보다 더 낮아졌다. 지난 1970년 출생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이고,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다. OECD 평균은 2018년 기준 1.63명이다. 우리나라 바로 위에 있는 스페인 1.26명과도 차이가 크다.
연령별로 보면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출산율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특히 20대 후반, 30대 초반의 출산율이 크게 떨어졌다. 해당 연령 인구 1,000명 당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연령별 출산율이 20대 후반(25~29세)은 5.3명(12.9%) 줄어들면서 35.7명에 그쳤고, 30대 초반(30~34세)도 5.2명(5.7%) 줄어든 86.2명에 머물렀다. 다만, 30대 초반 출산율이 처음으로 90명 아래로 떨어지긴 했지만 모든 연령층 중에서는 가장 높다. 오히려 40대 초반 출산율이 6.4명에서 7명으로 늘었다.
‘하나만 낳자’는 기조도 더 강해졌다. 첫째 아이 출생은 16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8,000명 줄어들었는데, 둘째 아이 출생은 10만8,000명으로 같은 기간 1만1,000명이나 감소했다. 셋째 아이 이상 출생은 2만6,000명으로, 3,000명 줄었다. 둘째 아이 출생은 2015년 16만6,100명에서 2016년 15만2,700명, 2017년 13만3,900명, 2018년 11만9,700명, 2019년 10만8,400명 순으로 꾸준하게 줄고 있다.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지난해 33세로, 전년 대비 0.2세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3.4%로 1.6%포인트 증가했다. 출생 성비는 여아 100명 당 남아 105.5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대비 0.1명 증가한 숫자다. 전체 출생아 중 다태아 비중은 4.6%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는데, 다태아 비중은 30대 후반이 6.9%로 가장 높았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