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유동인구 30만명의 대표 상권인 서울 마포구 홍대앞은 30일 오후 규제 대상이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조차 한산했다. 24시간 카페에는 방역강화 조치에 임시로 문을 닫는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서울 관악구 인헌시장은 명절을 앞두고 오히려 명절 당일처럼 적막감이 흘렀다. 몇몇 사람들이 생선가게 앞에서 햇꽃게를 살펴봤지만 이내 주인이 흥정 한번 해볼 새 없이 빠르게 발걸음을 옮겼다.
30일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불리는 강화된 방역조치로 수도권 상권의 시계가 멈췄다. 이에 더해 서울시는 수도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며 오는 9월6일까지 ‘1,000만 시민 멈춤 주간’을 선포한다고 이날 밝혔다. 서울시는 또 밤9시 이후 서울 시내버스 운행도 감축해 20개 혼잡노선과 심야버스·마을버스를 제외한 325개 노선의 야간운행 횟수가 현재 4,554회에서 3,664회로 줄어들게 된다.
수도권 프랜차이즈형 커피전문점은 포장과 배달만 가능하고 음식점과 제과점은 밤9시 이후 영업이 제한된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내 식음료시설 영업도 오후9시까지로 제한되며 이후에는 포장판매만 허용된다.
한 프랜차이즈식당 주인은 “나라에서 하라니 하지만 임대료·전기료 등 고정비에 막막하다”며 “오후9시 이후에는 테이크아웃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저녁장사를 접으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종로의 한 해장국집 주인은 “코로나19로 근근이 지탱하다 이제는 단골마저 끊겼다”며 “어떤 마케팅도 메뉴도 의미가 없을 지경”이라고 했다. 프랜차이즈형 커피전문점은 테이블과 의자를 치우고 ‘테이크아웃’ 전문점으로 급전환했다. 스타벅스나 투썸플레이스 같은 대형전문점은 아예 매장 내 의자를 없애고 신분증 제시와 QR코드로 출입을 통제했다.
규제 대상은 프랜차이즈카페·음식점이지만 규제에서 벗어난 동네 상권, 골목식당도 초토화됐다. 얼어붙은 소비심리로 규제영역은 무의미해졌다. 이번 조치로 제한을 받는 수도권 시설은 47만곳으로 국한했지만 자영업자들이 체감하는 ‘셧다운’ 규모는 더욱 크다. 제한 대상이 아닌 동네 카페나 골목상권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2.5단계는 수도권 자영업 전체에 ‘도미노’ 효과로 내 식당·프랜차이즈카페뿐 아니라 자영업 전체의 ‘보릿고개’도 불가피해졌다. 전통시장은 명절연휴를 방불케 할 정도로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겼다. 백화점 푸드코트에는 적막이 흐르고 동네 카페는 언제 올지 모르는 손님을 기다리다 아예 문을 닫게 생겼다. 동네 골목상권에서는 이 기간 아르바이트생도 줄이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한시적 조치지만 커진 불안감으로 2.5단계가 종료되는 다음달 6일 이후를 걱정하는 자영업자도 많다. 서울 서대문구 홍대역 인근의 한 카페 주인은 “다음달 6일까지라고 하지만 날짜는 별로 의미가 없을 것”이라며 “단골의 발길마저 멀어지면서 고정비를 까먹기보다는 폐업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보리·이지성기자 bor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