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독감 바이러스는 물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공기 중에 떠다니는 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바이러스 방역과 의료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총장 이용훈)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전기적 힘(전기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농축할 수 있는 장치와 농축된 바이러스 양을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검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기존 채집 방식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것과 유사해 바이러스가 포함된 채 떠다니는 비말 등의 입자를 채집할 때 아주 작은 것은 쉽지 않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됐다. 검사 시간도 오래 걸렸다.
연구팀은 정전기력을 이용해 공기 중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채집하고, 면역(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빠르게 검사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방식은 비말은 물론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작은 입자로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채집 과정에서 입자가 용액에 부딪혔을 때 충격을 최소화해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훼손시키지 않는다. 채집된 샘플은 가볍고 저렴한 ‘종이 면역 센서’를 이용해 1㎛ 미만 입자도 99% 이상 잡아낸다. 기존에 입자를 가속한 뒤 고체 배지나 액체에 충돌시켜 바이러스를 채집하는 관성 충돌 방식은 0.03∼0.1㎛의 미세한 입자를 10%도 못 잡는다.
연구진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A형 독감 바이러스(A H1N1)를 측정 했는데, 바이러스 채집 효율과 측정 정확도 모두 뛰어난 수준을 보였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이뤄졌지만 비슷한 크기·구조·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며 “현재 더 많은 공기를 뽑아 들일 수 있는 농축 장치를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공학 분야 국제 저널인 ‘환경 과학과 기술’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