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업 전체를 키우려면 기존 농민들에게 스마트팜을 설치하도록 지원만 할 게 아니라, 청년 농업인들을 유입해 하나의 새로운 사업군을 만들어야 합니다.”
스마트팜 업계 최전선에 있는 신상훈(사진) 그린랩스 대표는 그동안 농가현장에서 체험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점점 고령화하는 농업계에 젊은이들을 유인해 활력을 불어넣어 ‘신생산업’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또 신 대표는 해외 농산품에 밀리는 가격경쟁력은 물론 더디기만 한 관련 산업 발전에도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팜을 통해 경력이나 기후에 따른 생산성 격차를 줄이고 일정한 생산능력을 유지한다면 농업도 청년창업 중 하나의 카테고리로 들어갈 수 있다”며 “정부와 함께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면서 체계적인 창업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현재 대다수의 지방자치단체는 관내 농가에 최대 80%가량의 스마트팜 도입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다. 대략 사업비가 1억원이라고 하면 정부에서 8,000만원, 농부가 2,000만원을 부담하는 식이다. 이전에는 귀농이나 귀촌을 통해 스마트팜을 적용하는 곳이 많았으나 생산성을 보장하는 2세대 스마트팜 서비스가 부족한 현실에서 초보자가 농사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신 대표는 “그린랩스의 팜모닝은 직관적인 앱 디자인으로 이용하기 편하고 전문지식이 부족해도 농장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면서 “유통시세 분석, 판매대행, 유통 컨설팅 지원 등 팜모닝만의 유통관리 서비스까지 제공해 5년 이내에 투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통판로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온라인 쇼핑몰에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스마트팜 농부는 다른 것은 신경을 덜 쓰고 농작물 관리에 집중하면 된다.
현재까지 그린랩스의 팜모닝이 적용된 2,600여개의 스마트팜은 기존 농가를 업그레이드한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앞으로 새로 만들어질 농업생산시설에는 팜모닝이 적용될 것으로 신 대표는 기대하고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가 스마트팜 창업을 보다 진취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게 신 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아직 전체 농가의 스마트팜 보급률은 1~2%에 불과하지만 두 자릿수 이상으로 늘어날 경우 국가 전반의 농업 생산성이 한 단계 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더불어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에서도 스마트팜이 에너지 재활용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조업의 잔열과 이산화탄소를 스마트팜에서 보완해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신 대표는 “현재 탄소배출권과 관련해 스마트팜이 소외돼 있다”면서 “이산화탄소가 필요한 스마트팜에서 구입해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또한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재배와 더불어 태양광이나 제조업 에너지 재활용을 통해 에너지 부문에서도 자립하는 게 바로 3세대 스마트팜”이라며 “민간 보급률을 높이고 3세대로 진화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는 정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재명기자 nowligh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