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의 신용대출 증가 폭이 지난달에도 고공 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최대 월간 증가폭을 기록한 지난 8월에 비하면 누그러졌지만 올해 중순에 비하면 여전히 증가세가 가팔랐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과 카카오뱅크 등 6개 은행의 지난달 신용대출 잔액은 141조3,868억원으로 140조원을 돌파하며 전월에 비해 2조4,121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 월간 증가 폭은 △6월 3조1,374억원 △7월 2조8,810억원 △ 8월 4조4,704억원에 비하면 둔화한 것이다. 하지만 4월 5,509억원, 5월 1조689억원 불어난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2조원대 중반으로 높은 수준이다.
신용대출은 6월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반면 강력한 담보대출 규제로 대출이 막히자 부족한 주택매입 자금을 신용대출로 조달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급락했던 주가가 빠르게 반등하면서 신용대출로 빚을 내 투자를 하는 ‘빚투’도 성행했다. 이런 흐름을 타고 SK바이오팜 등 기업공개(IPO) 대어가 잇따라 등장한 것도 신용대출 잔액을 늘린 요인이었다. 이 외에 모바일로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 비대면 신용대출이 활성화한 것도 한몫했다. 신용대출 증가세가 커지자 금융당국은 지난달부터 고소득자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를 줄이라고 은행에 권고하는 등 관리에 들어갔다. 이에 국민·우리은행, 카카오뱅크 등은 대출 한도를 낮추고 금리를 올리는 등의 대출정책을 지난달 중하순부터 시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지난달 신용대출 증가 폭을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7,56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은행이 4,724억원 늘며 뒤를 이었다. 다음은 농협은행이 3,311억원이었고 카카오뱅크가 약 3,000억원, 신한은행이 2,916억원, 하나은행이 2,608억원 순이었다. 신한은행은 8월 1조 520억원 늘었지만 9월에는 증가세가 대폭 둔화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49조8,909억원으로 650조원에 육박했다. 8월의 643조3,152억원에 비해 6조5,757억원(1.02%)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61조4,345억원으로 전월의 456조9,836억원에서 4조4,509억원(1.0%) 증가했다.
/이태규·빈난새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