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유통업체 월별 동향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전국 편의점 점포 수(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139480)24, 미니스톱 등 총 5개사)는 4만7,056개로 지난해 말 대비 2,175개가 늘었다. 시장 1위를 다투는 CU와 GS25는 물론 세븐일레븐도 1만개 이상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고, 업계 후발주자인 이마트24는 올해 643개 점포를 신규 출점해 5,000개를 돌파했다. 미니스톱만 유일하게 점포가 9개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유통가 수난 속에도 편의점 수가 늘고 있는 것은 근접 유통 채널로서 편의점이 코로나 시대의 핵심 유통 채널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생필품은 물론 신선식품, 가전, 골프, 패션 등으로 품목을 확장하고 무인 계산대, 배달 등 코로나19 시대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재빠르게 도입하자 수요가 커지고 있다. 실제 분기별 유통업체 매출 성장률을 보면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올 들어 3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편의점은 3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률을 달성했다. 추석 연휴가 있던 올 3·4분기에도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각각 -5%, -0.7%의 역신장을 기록한 반면, 편의점은 2.89% 신장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사람이 많은 곳을 꺼리면서 집 앞 편의점을 마트 대신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었다”며 “편의점도 학원, 학교, 공항 등 특수 점포의 경우 매출 감소폭이 컸지만 대체적으로 다른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비해서는 타격을 덜 입은 편”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편의점 증가는 경쟁 심화를 불러와 점주들의 경영 환경을 악화시킨다고 지적한다. 앞서 편의점 업계는 지난 2018년 편의점 과밀화 해소를 위해 자율규약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편의점 본사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정하고 있는 50~100m의 담배소매인 지정거리 등을 참고해 편의점을 출점하고 있다. 그러나 강제성이 없는 만큼 인구가 밀집된 상권에서 50m가 채 되지 않는 거리의 근접 출점 사례가 속속 등장하며 실효성 문제가 터져 나오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도내 편의점 225개 대상으로 한 설문에 따르면 55%가 근접 출점에 따른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실제 고양시의 한 대형 아파트 단지에는 1년 사이에 편의점이 7개가 들어서면서 기존 편의점주의 매출이 33% 이상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서도 지난 9월 편의점 점포당 매출액은 5,176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360만원) 대비 3.4%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의점 점주는 “자율규약만으로는 제한된 상권에서 교묘하게 근접 출점을 강행하는 점포를 막을 수 없다”며 “강제성 있는 방안이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민주기자 parkm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