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확진자가 발생한 지 10개월. 실물 경제 최전방에서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아 그 어느 때보다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현장 목소리를 취재했다. 서울경제는 앞으로 7회에 걸쳐 서울지역 대표 협동조합장 7명의 인터뷰를 통해 애로와 요구사항을 듣는다.
첫 번째 주자로 김남수(사진) 중소기업중앙회 서울중소기업회장 겸 서울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을 16일 만났다. 인쇄산업 뿐만 아니라 서울지역의 협동조합을 대표하고 있는 김 회장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어느 정도일까.
김 회장은 “서비스업 비중이 큰 서울 소상공인의 체감 경기는 한겨울 한파 수준으로”이라며 “코로나19로 소상공인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실상은 더욱 처참하다”고 말했다. 전날 퇴근을 하고 다음 날 출근을 해보니 가게가 사라졌다는 안타까운 사연도 넘쳐난다고 한다.
최근 수출이 선방하면서 국내 경기가 조금씩 회복돼 가고 있다는 게 느껴지고 있지만 영세 소상공인들에게는 여전히 ‘남의 일’이다. 김 회장은 “코로나발 내수 부진이 소상공인들에게는 가장 큰 어려움”이라며 “여기에 업체 간 과열경쟁, 인건비 상승 등이 겹쳐 하반기에는 더 어려워 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더구나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로 격상해야 할 만큼 증가 추세가 뚜렷해 지면서 연말이나 내년 초에는 폐업하는 영세 소상공인들이 속출할 수 있다는 게 김 회장의 가장 큰 걱정거리다.
일부에서는 경쟁력이 없는 영세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이 정리가 돼야 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지만 이들이 고용하고 있는 직원들을 감안하면 그래도 살리는 게 낫다는 게 김 회장의 생각이다.
김 회장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줄도산을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공공구매 확대나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공공구매가 그동안은 기술 개발 등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핀셋 지원’을 해 왔다면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는 대상을 광범위하게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그동안은 (정부지원이) 우량 기업에 집중됐다면 이제는 수혜 대상기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조합 추천 등을 통한 수의계약 제도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안타까운 것은 서울시와 조합 추천으로 수의계약을 체결하도록 해 놨지만 서울시장이 부재하면서 관련 사업진척이 거의 없게 돼 버려 영세 업체들이 기회를 날려 더 어렵게 됐다는 점이다.
김 회장은 공공구매 이외에도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을 위한 펀드 조성 역시 서울지역 중기중앙회의 숙원 사업”이라고 했다. 서울 지역의 협동조합은 40~50곳으로 한 개 조합마다 10억 원씩 지원한다고 가정하면 500억 원이 필요하다. 김 회장은 200억~500억 원 가량의 공공펀드를 조성해 조합들의 원부자재 조달자금을 지원하자는 것이다.
그는 “정책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원부자재 조달자금 지원은 소상공인에게 꼭 맞는 대책”이라며 “이렇게 되면 각 업체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쇄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을지로 등 낙후된 도심을 청년 친화적인 공간으로 개조하는 등 도심 재생 개발 사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교통이 편리해 서울 어디에서든 접근성이 뛰어난 데다 과거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고 명동, 남산 등 관광 명소가 많은 중구 지역의 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승기자 사진=권욱기자yeonv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