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허물어진 재정 건전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의 조언이 나왔다.
안가나 바너지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25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제10차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IMF 공동 컨퍼런스’에서 “코로나19에 따른 재정 부양책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재정 취약성도 함께 커졌다”며 “향후 경기회복 속도에 맞춰 거시 건전성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팬데믹은 여전히 진행 중이므로 거시 건전성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친환경적·포용적 성장 정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올해 4차례에 걸친 추가경정예산 편성으로 우리나라의 국가 채무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43.9%까지 늘었다. 오는 2024년에는 59%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돼 역대 정부가 견지해온 40%대 선이 깨질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한국의 방역 정책과 경기 부양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바너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경우 코로나19에 따른 대규모 봉쇄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도 적극적인 검사와 재정 부양책을 통해 코로나19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앞서 IMF는 지난달 발표한 경제 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9%로 소폭 높이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9%로 제시했다.
이날 컨퍼런스를 공동 주관한 KIEP는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5%로 예상했다. 안성배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내년 세계경제가 다소 회복하면서 2020년(-5.1%)보다 개선된 5%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2.8%) △유로 지역(3.7%) △일본(2.0%) △중국(8.4%) 등 주요국의 경우도 올해보다 개선된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봤다. 다만 백신의 개발과 코로나19 재확산 여부가 세계경제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안 실장은 “미중 갈등 장기화 및 금융과 실물 부문의 괴리는 또 다른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