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 가능성이 커지면서 경영난이 가중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반발 움직임이 거세다. 이미 2.5단계에서 영업 제한을 당한 헬스장 등의 업주들은 “오후 9시까지라도 영업을 하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고 학원장들은 집단소송마저 제기했다. 임대료 지원 없는 3단계 격상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국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법정 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의 김임용 회장 직무대행(수석부회장)은 16일 “거리 두기 3단계 격상이 시급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임대료 지원 같은 강력한 소상공인 지원 대책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임대료 지원 없이는 거리 두기 3단계 격상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업종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방역 조치에 대한 불만도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실내 체육 시설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방역 당국의 집합 금지 조치로 문을 닫아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며 거리로 나왔다. 헬스클럽관장모임 관계자 등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존권 보장을 위해 오후 9시까지만이라도 영업을 허가해달라”며 삭발식을 했다. 당구장 업계도 집합 금지에 대한 반발로 수도권 일대에서 릴레이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강력한 잣대가 업종마다 오락가락한다”며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식당은 되고 우리는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수도권 학원 원장들은 급기야 정부를 상대로 집단소송에 나섰다. 코로나학원비대위(가칭)는 소송인단 187명에게 1인당 500만 원씩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라는 9억 3,500만 원 규모의 소송을 제기했다. 정부가 식당·PC방과 달리 학원만 문을 닫게 해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뿐 아니다. 코인노래방·PC방 업계도 소송전에 가담, 정부 방역 조치에 반발하는 자영업자의 집단행동이 본격화할 태세다.
정부 지원 없이 버티기 어려운 만큼 어떤 식으로든 임대료 지원 등 실질적인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경기 김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한 사장은 “최근 하루 매출이 고작 몇 만 원”이라며 “적자를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는 현실적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무런 조치 없이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를 실시하면 우리 같은 소상공인은 다 죽으라는 얘기밖에 되지 않는다”고 푸념했다.
/양종곤기자 ggm1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