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을 위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전체 탄소배출량의 55%를 차지하는 유럽연합(EU)과 미국, 중국이 최근 연이어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유럽연합은 2050년까지,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탈(脫)탄소화에 더 큰 힘을 실었다. 당선인은 ‘파리기후협정’ 재가입, 전력부문 탄소 중립 실현 등을 제시하며 2050년까지 미국 내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2035년까지 미국 전력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고 향후 4년간 청정에너지 분야에 2조 달러(약 2,223조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와 관계없이 최근 몇 년간 화석연료에서 청정에너지로 패러다임 전환을 이뤘다. 청정에너지의 경제성이 강력해지고, 소비자들의 환경친화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상당수의 주(州)가 자체적으로 청정에너지 구축에 노력해온 결과다. 대표적으로 애리조나 주 당국은 이번 대통령 선거일 바로 직전에 2050년까지 100% 저탄소 발전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이 청정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필사적인 것은 비단 환경에 대한 우려 때문만은 아니다. 경제적 논리에 따라 에너지와 관련된 모든 비용을 계산했을 때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이미 화석연료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해 경제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바이든 당선인이 2030년 말까지 전기자동차 충전소 50만 개소 보급, 태양광 패널 5억 개 설치, 풍력 발전용 터빈 6만 개 설치 등을 공약으로 선언하고, 태양광과 풍력발전 설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개혁 또는 연장하겠다고 한만큼 미국의 탈 탄소화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바이든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5월 파리기후협정을 탈퇴하는 등 기후변화 관련 법규와 정책을 후퇴시킨 것을 바로 잡기 위해 준비 중이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성장을 가속화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전기자동차 같은 파생되는 산업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도 기대해 볼 만 하다.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의지와 경제성, 소비자의 친환경적 요구’의 세 가지가 함께 맞물려 움직여야 한다. 에너지 전환은 장기간에 걸친 구조적 변화이며, 특정 한 사람의 결정에 좌우되지 않는다. 투자자들은 탄소 중립과 관련해 장기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지켜보고 고찰한다면 좋은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