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공장이 2만 개에 육박했다.
14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이 지난해까지 누적 1만9,799개를 기록했다.
스마트공장(누적 기준)은 지난 2014년 227개에 불과했지만 2018년 7,903개, 2019년 1만2,660개 등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특히 지난 2020년에는 스마트공장 7,139개가 만들어져 당초 연간 목표치 5,600개를 웃돌았다. 이중 ‘삼성형’, ‘포스코형’ 등 대기업이 참여하는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같은 민간 중심의 스마트공장이 2,409개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부터 지금까지 중소기업 1,409곳의 스마트공장 건립을 지원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는 제조혁신 전문가 20여 명을 현장에 파견해 자재 관리·물류 동선을 최적화하고 공정을 개선해 진단키트나 마스크 등 방역물품의 대량 생산을 도왔다.
중기부는 오는 2022년까지 누적 3만 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에는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선도형 스마트공장인 ‘K-스마트 등대 공장’ 등 제조 혁신 선도 사례를 확산하고 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과 연계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공장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