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그린수소 생산·이용 기술을 함께 개발한다. 또 해외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 개발 사업에 함께 참여하는 등 수소 사업의 해외 진출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에서 운영 중인 차량 1,500여 대를 현대차의 수소전기차로 전환하고 수소전기차에 적용할 차세대 소재 개발에도 나선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16일 포항 포스코 청송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소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소차·수소발전 등 수소 이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현대차그룹과 수소 생산 및 소재 분야의 강자인 포스코그룹이 수소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정 회장은 협약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전 산업 분야와 모든 기업이 당면한 과제이자 지속 가능한 미래 구현을 위한 필수적 요소”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강건한 수소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포스코그룹이 수소를 생산, 공급하고 현대차그룹이 이를 활용하는 관점에서 다양한 협력 기회를 찾아 수소경제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회사는 수소경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이어왔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50만 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 기를 생산하기로 했다. 포스코그룹은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 톤 체제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 매출 30조 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김능현 기자 nhkimch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