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생산자 물가지수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공산품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한 가운데 한파에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살처분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1년 1월 생산자 물가지수’에 따르면 올해 1월 생산자 물가지수는 104.88(2015=100)로 전월 대비 0.9% 올랐다.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이다. 지난해 1월 대비로도 0.8% 오른 상태로 전년 동월 대비 2개월째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 물가가 7.9% 오르면서 2018년 8월(8.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농산물은 한파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양파(29.5%), 파(53%), 호박(63.7%)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7.8% 올랐다. AI 확산에 따른 살처분으로 닭고기(42.8%), 달걀(34%), 쇠고기(8.8%) 등 축산물 가격도 11.8% 급등했다.
공산품은 전월 대비 1.0% 올랐다. 석탄 및 석유제품이 8.1% 오르면서 3개월 연속 상승했다. 경유(9.7%), 나프타(14.0%)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화학제품도 1.0% 올라 8개월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 서비스는 금융 및 보험서비스(2.3%),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0.7%) 등이 오르면서 0.5% 올랐다.
국내공급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1.6% 올랐다. 국내공급 물가지수는 물가변동 파급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생산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지표다. 원재료(8.9%), 중간재(1.1%), 최종재(0.9%) 등 모두 상승하면서 상승했다는 설명이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을 더한 총산출 물가지수는 1.3% 올랐다.
문제는 당분간 물가 상승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김영환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농식품, 원자재 등의 물가 상승 압력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자 물가는 상승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볼 수 있다”며 “2월에도 지금과 같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