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운용 업계의 화두는 단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지구온난화 문제에 더해 지난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까지 발생하며 환경문제가 부각됐다. 한편 큰 영향력을 지닌 다국적기업들의 출현으로 기존 주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업의 책임도 한층 강조되고 있다.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를 중심으로 ESG 투자 순자산이 증가세에 있다.
이 지점에서 수탁자로서 자산운용사의 신의성실 의무를 되짚어 보게 된다. 주식 투자에서 비재무적 요인인 ESG가 어떻게 수익률 성과로 나타나는지, 채권의 경우에도 그린본드를 발행하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 부도율, 신용 등급 등이 수익률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하고 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ESG 요소와 미래 기업의 생존·경쟁력, 이를 기반으로 하는 수익성 사이에는 더욱 밀접한 관계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 많은 국가가 환경보호 정책과 관련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고 기업 역시 관련 투자를 늘려가는 추세다.
그렇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ESG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먼저 관련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국내외 평가 기관마다 평가 항목과 등급 체계가 각기 달라 기업 간 비교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모든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통일된 ESG 평가 항목과 표준화된 분류 체계가 마련되고 관련 정보가 구체적이고 투명하게 공시돼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이고 ESG 투자를 위한 벤치마크가 개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용사의 경우 리서치와 투자 프로세스에 ESG를 접목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여기에는 각 섹터나 산업에서 ESG 성과가 가장 뛰어난 종목 위주로 투자하는 ‘동일 계열 내 최고(Best in Class)’나 소위 죄악주를 배제하는 ‘네거티브 스크리닝’ 등의 방법이 있다. 그중에서도 ‘통합적 투자’는 더 많은 종목에 분산 투자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적 투자 접근 방식은 모든 개별 종목 리서치와 투자 프로세스에 ESG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ESG 역량이 우수한 기업의 경우 자본비용을 줄여 기업 가치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개인투자자들은 ESG 펀드나 기업을 바라볼 때 긴 호흡으로 해당 기업이 인류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지에 집중해야 한다. ESG 펀드의 경우 운용사의 ESG 리서치가 기존 투자 프로세스에 얼마나 체계적으로 접목돼 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
ESG 투자는 단기간의 트렌드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부의 집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계속 성장해나갈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인류의 지속 가능성이라는 대명제하에 ESG 요소를 고려한 투자 원칙과 자산운용사의 투자 목표 및 수익률에 대한 논의도 지속될 것이다. 자산 운용 업계도 투자의 관점에서 선한 기업들의 이 같은 움직임을 지원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원해본다.
/박종학 베어링자산운용 대표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