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의 당면 과제는 ‘집값 안정’이다. 그는 이를 위해 정비 사업 규제 완화를 통한 ‘스피드 공급’을 전면에 내세웠다. 빠른 시일 안에 최대한 주택을 많이 공급해 가격을 안정시킨다는 것이 골자다. 전문가 및 시장 역시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공급 확대가 필수라는 데는 동의하고 있다.
<국지적 불안…상승폭 작을 듯>
이 같은 서울의 변화는 수도권 주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일단 국지적 불안은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상승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눈길을 끄는 것은 서울 외 수도권 시장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수도권 시장은 서울 이슈로 인해 상승분을 반납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민간 정비 사업 규제 완화 기조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될 것”이라며 “유동성 등 기존의 집값 상승 요인 또한 별다른 변화가 없는 상황이므로 당분간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공공재건축 등이 포함하지 못하는 고가 대형 아파트 가격이 들썩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재건축 활성화에 공약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재건축 단지 위주로 가격 상승이 이뤄질 수 있다”며 “공급 확대 신호 또한 오 시장 당선 전부터 있었던 만큼 시장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는 않으리라 본다”고 전망했다.
<장기적 안정…수도권은 타격>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책이 현실화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다 강남 일부 지역에서는 선반영된 부분 또한 있다”며 “시장 유동성에 따라 투자하려는 사람도 있지만 리스크도 커지면서 서울 집값은 강보합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보면 서울 도심 내 주택 공급이 확대돼 집값이 안정되리라는 의견도 나왔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교수)은 “재개발·재건축이 활성화되면서 시장의 주축이 이쪽으로 움직일 것”이라며 “한동안 공급 부족으로 신규 아파트 열기는 지속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아파트 가격 안정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으로 서울 이외 수도권·지방 등의 아파트 가격은 공급 이슈로 약보합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 공급 기대감으로 수도권 등 집값은 상승분을 반납하는 등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수도권 일부 지역은 이후 3기 신도시 입주 시기가 다가오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공급 기대감이 높아질 수록 반사이익을 누렸던 경기와 인천 주택시장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와 인천은 이미 신도시 등 대규모 공급이 진행중이다.
한 예로 서울경제가 호갱노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에서는 올해부터 오는 2023년까지 3년간 무려 8만 5,392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올해 1만 6,552가구, 2022년 3만 2,145가구, 2023년 3만 6,695가구다. 새 아파트가 계속 분양을 앞두고 있어 입주 물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aily.com, 권혁준 기자 awlkwon@sedaily.com, 이덕연 기자 grav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