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다. 신규 투자 유치에 실패하면서 법정관리 졸업 10년 만에 다시 회사의 운명을 법원 손에 넘기게 된 것이다. 다만 법원이 쌍용차의 청산보다는 법정관리 조기 졸업으로 가닥을 잡은 만큼 최종 결정 전까지 새 투자자를 확보할 수 있을지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서울회생법원은 15일 쌍용차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법원은 제3자 관리인으로 정용원 쌍용차 기획관리본부장(전무)을, 조사위원으로는 한영회계법인을 각각 선정했다. 조사보고서는 오는 6월 10일까지 제출하도록 했다.
법원은 앞으로 쌍용차의 자산·재무 상황을 토대로 쌍용차를 존속시킬지, 청산할지를 평가한다. 계속 운영으로 기울면 법원은 재무구조 개선과 구조 조정 방안을 담은 ‘회생 계획안’을 바탕으로 쌍용차 정상화 방안을 추진한다. 반면 청산 가치가 더 높으면 회생절차는 폐지되고 채권단에 대한 채무 변제 등 청산 절차를 밟는다.
앞서 쌍용차는 지난해 12월 기업회생절차와 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을 함께 신청해 석 달의 시간을 벌었다. 그러나 기존 대주주 마힌드라와 유력 투자자였던 미국 HAAH오토모티브의 매각 협상이 지연되면서 일이 꼬였다. 최후의 수단으로 단기 법정관리인 사전회생계획(P플랜)을 추진했으나 이마저도 HAAH가 법원이 제시한 투자의향서(LOI) 제출 기한인 지난달 31일을 넘기면서 무산됐다.
업계에서는 채무 등을 보면 청산 가치가 더 높다는 평이 나오지만 고용 문제 등을 고려하면 존속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현재 쌍용차 1차 협력 업체는 250~300곳에 달하며 2·3차 협력 업체까지 더하면 700~800곳에 달한다. 약 2만 명의 일자리가 달린 것이다. 쌍용차 법정관리로 상거래 채권이 동결되고 대규모 구조 조정이 시행되면서 연쇄 도산이 불가피하다. 법원은 이에 따라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를 통해 서둘러 새로운 투자자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회생절차 개시를 전제로 한 M&A로 투자자와의 신속한 협상을 통한 법정관리 조기 종결을 목표로 한다. 쌍용차는 최근 평택공장 외 165개 필지에 대한 자산 재평가로 완전 자본 잠식 상태에서 벗어난 만큼 재무구조 개선과 투자자 유치를 통해 상장폐지에 대한 우려 또한 해소해나갈 계획이다.
법원이 공개 매각을 진행하면 유력 투자자였던 HAAH오토모티브도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내 전기 버스 제조업체인 에디슨모터스, 전기차 업체 케이팝모터스, 사모펀드 계열사로 알려진 박석전앤컴퍼니 등도 인수 의향을 보인 상태다. 쌍용차 측은 “비록 P플랜에서 인가 전 M&A 방식으로 전환됐지만 추진 시기만 달라질 뿐 회생절차 개시를 전제로 M&A를 추진해 회생절차의 조기 종결을 도모한다는 점은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한동희 기자 dwis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