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CU는 일부 점포에 커피 찌꺼기를 업사이클링해 만든 ‘커피박(粕) 데크’를 설치한다고 24일 밝혔다.
커피박은 원두에서 커피하고 남은 커피 부산물, 즉 원두 찌꺼기를 일컫는 말로, 원두의 0.2%가 커피로 추출되고 나면 나머지 99.8%가 커피박이 된다.
커피박은 별도의 분류 기준이 없어 일반 생활폐기물로 배출되는데 커피박을 소각하면 톤(t) 당 약 338㎏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매립 시에는 카페인 성분으로 인한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커피 음용량이 늘어나면서 한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커피박은 2019년 기준 약 15만 톤에 이른다.
이에 CU는 커피박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일부 신규 점포에 커피박 데크를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또 가맹점 반응 등을 고려해 설치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커피박 데크는 커피박 함량이 20% 이상인 합성 목재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목 데크와 비교해 쪼개짐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이 작고 기온·강수량 등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다. 커피원두의 특성인 방향 및 탈취 효과도 있다. 또 점포 상황에 따라 데크를 철거해야 할 경우에도 조립된 데크를 그대로 해체하기만 하면 100% 재자원화가 가능하다.
다만 CU가 점포에 도입하는 커피박 데크는 각종 유해물질 및 환경호르몬 검출 테스트에서 안전성을 확보한 제품으로 일반 방부목 데크 대비 단가가 약 23%가량 비싸다.
CU 관계자는 “CU에서 판매하는 즉석 원두커피에서만 연간 약 1,700t의 커피박이 발생한다”며 “점포에서 수거한 모든 커피박을 업사이클링하면 약 4,000개 점포에 커피박 데크를 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주원 기자 jwpai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