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정치후원금을 간편하게 송금할 수 있는 ‘정치후원금 보내기' 서비스를 5일 정식 오픈했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토스 앱 ‘전체’ 화면에서 ‘정치후원금 보내기’ 메뉴를 통해 후원하려는 국회의원이나 정당을 선택하고, 간편 송금으로 후원금을 보낼 수 있다. 기부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도 앱 내에서 간편하게 입력하면 된다.
그동안 정치 후원금을 기부하려면 주로 각 의원실이나 정당 후원회에 직접 연락하거나 홍보물 등을 통해 입금 계좌를 일일히 확인해야 했다. 또 연말정산 시 기부금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해 유선으로 주소 등 개인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등 후원자는 물론 각 의원 후원회도 행정적 불편을 감수해 왔다.
토스는 ‘정치후원금 보내기’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뿐 아니라 건전한 정치 기부 문화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익적 취지에 따라 이번 서비스를 통한 송금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이승건 토스 대표는 “금융의 맥락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서비스를 고민하다가 이번 서비스를 선보이게 됐다”며 “쉽고 간편하게 정치 후원금을 기부하고 기부 내역을 소셜미디어에 공유도 가능해진만큼 더 많은 국민들이 소액 기부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6월말 현재 토스 사용자는 2,000만명으로 전 국민의 약 3분의 1에 달하고 20대의 80%, 30대의 67%, 40대의 50%가 토스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서비스를 신청한 후원회는 국회의원실 21곳과 중앙 정당 4곳이며 향후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후원금 모집 주체는 각 국회의원 및 정당의 후원회로 토스는 이들의 신청을 받아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토스는 이번 서비스 런칭을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 해석을 받고 주요 국회의원실 및 각 정당의 행정적 불편 요소들을 청취했다.
한편, 정치기부금은 연말정산시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10만원 초과분은 15%까지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혜택이 제공된다. 이번 서비스를 통해 송금할 수 있는 후원금은 1회 최대 120만원이다. 또 관련 법령에 따라 후원회 1곳에 보낼 수 있는 연간 한도는 최대 500만원, 다수 후원회 기부시 총 기부 한도는 연 2,000만원으로 제한된다. 법인 및 단체, 미성년자, 공무원, 외국인 등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