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는 스마트 방역 인프라 강화를 위해 국내 공항 최초로 인천공항 입국장에 소독로봇과 방역안내로봇을 도입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되는 로봇은 소독로봇 2대 및 방역안내로봇 6대다. 공사 측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입국장에 이들 로봇을 우선 배치하고 향후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도 확대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다.
소독로봇과 방역안내로봇은 5G 무선통신을 이용해 공항 내 방역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파악 및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자율주행, 물체감지, 자동 도킹·충전기술 적용으로 공항 내 신속하고 안전한 방역 대응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우선 인천공항 소독로봇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입국장 동편 및 서편에 각 1대씩 총 2대 운영되며, 인체에 무해한 UV-C 램프를 이용해 입국 게이트에서 검역대까지 입국여객의 동선에 따라 입국장 카펫과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자동 소독하는 역할을 한다.
소독로봇은 정해진 일정대로 입국장 전 지역에서 소독작업을 진행하는 △정기 소독 모드와, 유증상자 발생 시 긴급 소독 일정을 전송받아 유증상자 동선을 집중 소독하는 △긴급 소독 모드로 운영된다.
인천공항 방역안내로봇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입국장 동편 및 서편에 각 3대씩 총 6대 운영되며, 입국장 내를 자율주행하며 방역 지침 미준수자에게 방역 안내 사항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