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이 인구구조의 양적·질적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험시장은 향후 고령층 시장과 저연령층 시장으로 양분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맞는 차별화된 상품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미래에도 보험이 소비자에게 환영받기 위해서는 보험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보험연구원 김세중 연구위원은 인구구조의 양적·질적 변화에 대한 보험산업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넥스트 인슈어런스(Next Insurance) 두 번째 이슈인 ‘인구구조 변화와 보험산업’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고령화 심화라는 양적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새로운 세대의 등장, 세대 간 소득과 부의 양극화 등 인구구조의 질적 변화는 보험산업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인구구조 변화는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촉진해 보험업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세대의 부상은 빅테크의 보험산업 진출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빅테크는 일상적인 고객접점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종합금융서비스의 일환으로 보험을 제공하면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대비해 보험산업은 변화하는 경쟁구도에 적응하고 고연령과 저연령 시장에서 차별화된 상품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위원은 “보험시장은 인구비중이 높지만, 포화돼 있고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시장과 인구비중은 낮지만 신시장이며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저연령층 시장으로 양분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고연령 시장은 건강관리 서비스, 간병·요양 서비스와 같은 예방적 서비스 영역을 강화하고 고령자에게 친숙한 대면채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저연령 시장의 경우 전통적 보험상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한 상품전략과 디지털 중심의 비대면 채널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래에도 보험이 소비자에게 환영받기 위해서는 보험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새로운 금융질서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현재 소비를 선호하는 MZ세대가 보험에 거부감을 가지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보험산업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고령화 현상에 사회가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본연의 역할에도 충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은 장기적으로 치매, 간병·요양 등 정신건강 관련 보장 및 서비스 강화를 통해 세대 간 부담을 완화하고 노인 중심의 사회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