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자 연령대별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9년 1월부터 올 6월까지 2년 6개월간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건수가 무려 54만 2,00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당 신도시(9만 7,000여 가구)의 5.6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물량이다. 정책 실패로 집값이 쉼 없이 오른 것이 주요 원인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주 전국 및 수도권 아파트 값 상승률이 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청년층의 ‘영끌 매수’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2일 서울경제가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 통계를 활용해 지난 2년 6개월(2019년 1월~2021년 6월)간 2030세대의 아파트 매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부동산원은 2019년 1월부터 연령대별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우선 이 기간의 전국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185만 2,153건이었다. 이 가운데 2030세대의 매입 건수는 54만 2,420건을 기록했다. 비중은 29.2%로 10건 중 3건이 2030세대 매입이다. 지역별로 보면 2년 6개월 동안 서울 7만 19건, 경기 16만 5,726건, 인천 3만 6,180건의 아파트 구입 건수를 기록했다.
월별로 보면 통계 작성 초기에는 2030세대의 매수 비중이 20~30%대 초반을 유지하다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지난해 8월부터 30%대 후반에서 40%대를 기록했고 이 같은 추세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임병철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지금이 아니면 못 산다'는 심리가 확산되면서 세입자 비중이 높은 청년층이 대거 아파트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국부동산원이 이날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값 통계에서 전국 아파트 값은 0.30%(전주 0.28%)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 집값도 전주(0.37%)보다 더 오른 0.39%로 최고 상승률 기록을 1주일 만에 갈아 치웠다.
<치솟는 전세가에 지방도 2020 영끌>
2030세대의 ‘패닉바잉(공황구매)’은 지방도 예외는 아니다. 이들 세대의 아파트 매수 비중은 전 지역에서 20%를 웃돌았고 울산에서는 30%선을 넘긴 33.5%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지방에서 이뤄진 전체 아파트 매매 거래 99만 4,681건 가운데 27만 495건은 매수인이 2030세대였다. 비율로 보면 27.2%를 기록해 수도권 지역 중 인천(28.4%)과 비슷했다. 지역별로는 울산·세종 등에서 2030 매수 비중이 30%에 근접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전북·강원 등의 지역에서는 비율이 낮았다.
지방 아파트 매매 통계를 시도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 거래에서 20대와 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지방은 울산광역시였다. 울산에서는 분석 기간 동안 4만 8,233건의 거래가 있었는데 이 가운데 1만 6,174건(33.5%)은 매수인이 2030세대였다. 뒤를 이은 곳은 세종시로 비중이 29.3%를 기록했다.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지역은 전남·전북·강원 등이었다. 전남의 경우 5만 8,934건의 전체 거래 가운데 1만 4,840건(25.4%)이 청년층이 매수인으로 나선 거래였다. 전북에서는 2030세대 거래가 전체 6만 8,807건 중 1만 6,870건(24.5%)이었고, 강원에서는 5만 6,322건 중 1만 2,829건(22.8%)이었다. 부산과 대구는 2030세대 비중 26.3%를 기록하면서 대도시권임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청년층 매수 비중을 보였다.
한편 지방에서도 지난해 7월 말 새 임대차법 시행 전후로 아파트 거래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아파트 매매 시장에서 2030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7월 26.0%를 기록했는데, 8월에는 28.5%를 기록했고 12월에는 30.5%를 기록하며 30%선을 넘겼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