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스피200 상장사 10곳 중 4곳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꾸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ESG 정보 공시 의무가 강화되면서 대형 상장사들이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삼정KPMG가 23일 발간한 ‘감사위원회 저널 제 18호’에 따르면 지난 7월 ESG위원회를 도입한 코스피200 기업은 총 76개사로 집계됐다. 전체의 38%에 달하는 수치다. 이 중 한 곳은 ESG위원회에 준하는 위원회를 두 개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이사회 산하 ESG 관련 위원회는 총 77개로 조사됐다.
77개 ESG위원회 중 61개(79.2%)가 관련 조직을 올해 신설·확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정KPMG는 “올해 하반기 중 도입 예정인 기업도 있어 올해 말까지 ESG위원회 등을 이사회 산하 기구로 설치하는 국내 기업이 더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평균 회의 횟수는 1.4회였다. 주요 안건은 △ESG 공시 및 평가 대응 △탄소중립 선언 △안전·보건 관리체제 운영 △기업지배구조보고서 핵심지표 준수 등이었다. 삼정KPMG는 올해 위원회가 상정한 안건 중 23.5%가 ESG의 전반·거시적 사항과 관련됐다고 평가했다.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중에선 ‘사회’와 관련된 안건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삼정KPMG는 설명했다.
코스피200 기업의 ESG위원회 평균 구성원은 4.4명이었다. 전체의 83.1%가 5명 이하로 구성됐다. 구성원 중 대다수가 사외이사다. ESG위원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평균 75.6%였으며 사외이사가 위원장인 곳도 총 62개(80.5%)에 달했다.
대표이사가 참여하는 곳은 전체 ESG위원회 중 43곳(55.8%)이었다. 삼정KPMG는 대표이사가 ESG위원회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김유경 삼정KPMG 감사위원회 지원센터(ACI) 리더는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등은 독립성 확보가 중요해 대표이사를 제외하고 사외이사가 위원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도 “그러나 ESG위원회는 경영진의 의지를 선언·구현하는 기구로 기능해야 해 대표이사가 위원회에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해석했다.
김 리더는 “ESG 성과 평가에 회계 관련 사항이 포함되고 위원회 활동도 감사 대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감사위원 일부가 ESG위원회에 참여해 업무를 진행하는 사전 조율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