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의체는 삼성·SK하이닉스 등의 대기업 외에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패키징 기업 외에 업계 대표 및 반도체 분야 학계·연구기관 대표 등 총 30명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이날 행사에서 업계에서 추진해온 연대·협력 성과 및 향후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정부가 마련한 K반도체 전략의 주요 과제를 점검했다. 반도체협회 발표에 따르면 지금까지 2,200억 원(총 86건)의 반도체 펀드 투자가 단행됐으며 또 소부장 성능 평가 지원 사업을 통해 사업화 매출 147억 원, 투자 526억 원, 특허출원 82건 등의 성과를 냈다.
팹리스-수요기업 간 협력 플랫폼인 ‘융합얼라이언스 2.0’을 통해 발굴된 미래 차 3건, 사물인터넷(IoT) 4건 등 10개의 기술 개발 과제는 차세대 지능형 기술 개발 사업으로 선정돼 지난해부터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반도체 업계는 향후에도 차량용 반도체 공급 기반 확충, 시스템반도체 수요연계 온라인플랫폼을 활용한 연구개발(R&D) 결과물의 상용화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이 중 온세미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2,500억 원을 부천 지역에 투자해 전력 반도체 생산을 늘릴 방침이다. 이외에도 탄소 중립 R&D와 환경안전협의체 신규 구성 등도 추진한다.
정부는 ‘K반도체 전략’에 따라 △삼성-KAIST 계약학과 개설 합의 △2022년 관련 학과 정원 131명 확대 △반도체 인력 양성 예산 3배 이상 확대(153억 원→491억 원) 등 인력 양성 분야에서 성과를 거뒀다. 이외에도 반도체 업계의 투자 지원을 위한 ‘투자 애로 접수창구’ 개설 및 관계부처·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반도체 투자 점검회의’도 운영할 방침이다. 센서 산업과 관련해서는 ‘K센서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내년부터 7년간 총 1,865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치열한 국제 경쟁 속에서 반도체 산업 생태계 내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하다”며 “정부도 기업 투자 관련 인허가 지원, 주요 규제 합리화 등 주요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