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등에 대비해 교통시설과 이용자가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지능형 교통체계 인프라를 구축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국무회의에서 ‘지능형 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을 보고하고 확정했다고 밝혔다. 지능형 교통체계 기본계획은 자동차·도로, 철도, 항공, 해상 각 교통 분야별 지능형 교통체계를 개발·보급하기 위한 추진전략이다. 국토부는 2000년, 2011년에 이어 이번에 3차 계획을 수립했다.
국토부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면서 단절 없는 사람 중심의 교통서비스 제공’을 이번 계획의 비전으로 삼았다. 기존 지능형 교통체계에서는 교통시설이 운행정보를 수집한 뒤 이용자에게 일방향으로 전달했지만 앞으로는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로 복합적·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실시간 수집·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 교통 서비스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토부는 자율주행차·도심항공교통(UAM) 등 새로운 교통수단의 원활한 도입과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2027년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에 대비해 올해부터 전국 주요 도로에 C-ITS 통신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차량·인프라·센터 간 신뢰성 있는 정보 교환을 위해 V2X 보안인증체계도 구축한다.
국토부는 도심 내 수직이착륙을 특징으로 하는 UAM의 탑승시설 구조와 제반 설비에 관한 기준 또한 마련한다. 도심 내 안전한 운용과 효율적 운항을 위해 도심 3차원 지도를 구축해 UAM의 본격 활용도 준비하기로 했다.
AI 등 첨단기술로 교통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방안도 이번 계획에 포함됐다. 국토부는 AI로 역주행 등 돌발상황을 감지하는 스마트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을 주요 구간에 확대하기로 했다. 결빙 등 실시간 노면상태와 낙석 등 장애물을 검지해 운전자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상태 관리 시스템’ 등도 구축한다.
철도 건널목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도 건널목 교통 흐름과 위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는 ‘전자식 경보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인접 도로 교통신호와의 연계 체계를 구축하는 등 ‘스마트 철도 건널목’은 2025년까지 교통량이 많은 200개소에 우선 구축한다.
국토부는 이용자들의 수요 특성을 반영해 편리하고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철도 이용자를 위한 이동경로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실내·지하 등 위치에서 이용자 행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내 측위 시스템을 2023년까지 개발한다.
항공 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AI를 기반으로 집에서 공항 탑승구까지 최적 이동 경로 등을 모바일로 제공하는 맞춤형 가상비서 서비스를 구현한다. 자율·추종주행 기반 ‘여객 짐운반 카트로봇’ 도입은 2025년까지 확대해 스마트 공항을 구축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과 연계해 한국형 ITS 수출 생태계 또한 조성한다. 안석환 국토교통부 종합교통정책관은 “이번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으로 국민이 상상했던 첨단 교통체계가 실현될 수 있도록 기본 계획상 세부과제를 분야별로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