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이 B마트까지 진출하느냐는 불만이 있는데 해당 퀵커머스 사업을 계속해야 하나요?”
1시간 이내에 상품을 즉시 배송해주는 ‘퀵커머스’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일 국정감사에서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에게 이같이 질의했다.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비슷한 맥락의 질문을 하며 “B마트가 들어서면서 편의점이 도산할 것”이라고 질책했다. 최근에는 산업통상자원부까지 나서 퀵커머스가 골목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사실상 퀵커머스를 규제하겠다는 의도다.
중요한 것은 이들의 주장과 달리 실제 편의점들의 매출이 줄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해 주요 유통 채널 중 편의점 업계의 매출은 2.4% 증가했고 올해 상반기에도 6.2% 늘었다. 매출 타격 때문에 퀵커머스를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근거가 없다.
또 규제를 하겠다는 이들은 퀵커머스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점을 놓쳤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전통시장은커녕 대형마트조차 방문하는 빈도가 줄었다. 대신 온라인 플랫폼이나 퀵커머스로 생필품을 구매하는 문화가 생겼다.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안전하게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보니 소비자들이 경험한 편익은 상상 이상으로 커졌다.
역사적으로 새로운 변화는 기존 사업자들에게 위기가 되고는 했다. 하지만 섣부른 규제 도입은 신사업을 위축하고 소비자들의 편익마저 저해할 뿐이다. B마트뿐만 아니라 쿠팡이츠 마트, 우리동네 딜리버리 등 유사 서비스들이 잇따라 생기고 있다. 이들이 우후죽순 시장에 발을 들여놓는 것은 그만큼 소비자들의 수요가 퀵커머스로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퀵커머스 시장은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고 일상이 돼가고 있다. 변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지역 소상공인들이 퀵커머스와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게 먼저다. 애꿎은 규제로 불편했던 과거로 돌아가기보다는 변화 속에서 지역 소상공인들이 어떻게 하면 퀵커머스 시대에 걸맞은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지 지원하는 게 정부와 국회가 해야 할 일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