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2025년 기준 음식점 종업원, 환경미화원과 같은 단순노무·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취업자 수가 기존 추세 대비 21만명 감소할 전망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면 중심 직업의 생산성은 하락, 비용은 증가하면서 이들 직무를 대체하는 기술이 발전, 노동 수요가 줄어드리라는 전망이다. 대체로 해당 직업 종사자들이 고령자 등 경제적 취약계층인 만큼 사회안전망·취업교육 강화 등의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조언 또한 제기됐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가 발간한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직업별 고용비중은 기존 추세 대비 단순노무·서비스 직군에서 0.8%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문·관리직에서는 0.3%포인트, 반복직무에서는 0.5%포인트 상승할 전망이다. 이를 올해 3분기 계절조정 취업자 수인 2,704만 명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단순노무·서비스 취업자 수가 기존 추세보다 21만 명 감소한다는 분석이다. 산업별로 보더라도 같은 기간 저숙련 서비스업 종사자 비중이 기존 추세 대비 2.3%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고숙련 서비스업은 1.5%포인트, 제조업은 0.8%포인트 상승했다.
이처럼 단순노무·서비스 취업자 감소세에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술 변화 추세가 자리한다. KDI는 코로나 위기 속 재택근무 비중이 9%포인트 낮은 직업의 경우 직업 생산성이 1 표준편차 하락하고, 이 경우 고용이 3.6%가량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재택근무 등 비대면 근로가 어려운 직무에서 비용이 증대, 향후 기술발전은 대면 근로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연구를 수행한 엄상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 이전에도 O2O(Online to Offline) 거래는 증가해왔으며, 코로나 위기를 거치며 대면 위주로 제공되던 서비스의 비대면 서비스로의 전환이 가속화됐다”며 “인공지능(AI)이 도입되며 기술이 대체할 수 있는 직무 또한 과거보다 광범위해졌다”고 설명했다.
한편 코로나19 위기 속 재택근무가 어려웠던 산업과 직업에서는 고용 충격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KDI가 미국 ATUS 자료에 나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산업·직업별 평균 재택근무 비중을 한국 산업·직업에 연계한 결과 재택근무가 어려웠던 산업·직업에서 고용이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코로나 확산, 방역 조치에도 불구하고 재택근무가 용이한 산업·직업에서는 경제활동 제약이 그리 크지 않았다는 뜻이다. 경기침체에서 점차 회복되던 코로나 위기 발생 1년 후에도 대면 위주 산업·직업의 고용 충격은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다.
엄 교수는 “코로나 이후 고용구조 변화로 인해 경제적 취약계층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며 “고용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정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