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병상을 배정받지 못한 대기자가 하루 만에 100명 가까이 늘어 500명을 넘어섰다. 정부는 수도권 환자를 이동 시간이 한 시간 이내의 비수도권 병원으로 이송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의료계는 “이송 과정에서 중증 환자가 악화할 위험성이 높다”며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입을 모았다.
19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병상 배정 대기자 수는 520명으로 전날 423명에 비해 하루 만에 97명이나 늘었다. 입원을 기다리던 중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도 이달에만 6명에 달했다. 이날도 수도권 코로나19 중증 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78.2%에 달했고, 서울 지역 가동률은 이틀째 80%를 넘겼다.
정부는 수도권 병상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환자를 한 시간 거리 이내의 비수도권 지역 국립대병원 중환자실로 이송하겠다고 밝혔다. 환자 배정 요청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는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미사용 병상에 대한 손실 보상을 인정하지 않을 방침이다. 또 호전된 중환자를 준중증·중등증 병상 등으로 이송한 의료기관에는 전원 의료비와 이송비를 지급할 예정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중환자의 비수도권 이송은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에크모와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 환자를 이송하는 건 결코 쉽지 않은 문제”라며 “수많은 의료진이 동원돼야 하고 이송 중 악화될 위험성이 높아 서울 안에서도 이동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성훈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도 “질환의 특성상 음압 격리가 필요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동일하다”며 “준중환자실 역시 일반 병동보다 많은 간호 인력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현장의 부담은 여전히 높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환자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송할 때 환자와 보호자가 받아들일지도 의문”이라며 “진료 현장의 의견을 취합하고 국민의 동의를 얻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고령자·감염취약시설로의 확산을 막기 위해 요양·정신병원 및 시설에 대해 추가접종(부스터샷) 완료 전까지 대면 면회를 당분간 중단하기로 했다. 그동안 해당 시설은 접종 완료자에 한해 대면 면회를 허용해 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