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뉴스 서비스에서 댓글 조작 행위가 감지될 경우 이를 언론사에 알리는 시스템을 마련한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 공간에서 최근 24시간 안에 이용자의 공감·비공감 등 반응이 급증하는 현상을 언론사에 안내하는 기능을 이달 29일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에 신설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네이버는 일정 기준 이상 반응이 급증한 기사를 감지해 최신순으로 5개까지 노출한다. 이러한 기사는 언론사 뿐만 아니라 서비스 내 별도의 문구를 통해 이용자에게도 안내한다. 각 언론사는 기사 댓글 정렬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개별 기사의 댓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달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공감 수를 급증하는 문제에 대해선 인지하고 있다”며 “공감을 비정상적으로 늘리는 활동에 대해선 댓글을 운영하는 언론사에 즉시 알리고 이용자도 즉시 알 수 있는 기술적 조치를 마련했다”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는 향후 감지 기준을 고도화 하고 지속적으로 확장·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댓글 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발전된 기능을 도입하는 것과 함께 악성 댓글에 대한 조치와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을 더해 댓글의 순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