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장은 아시아 및 세계미술에서 한국미술의 위상을 정립할 역량을 갖추고 이를 실현할 국제적 네트워크를 확보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미술관 관장은 어떤 인물이어야 할까? 글로벌 예술전문 매체인 아트넷뉴스는 22일(현지시간) 코로나19 이후 미술관 예산 부족 등 현실적 난관 속에 “미술관 리더십 전환의 시대”를 맞았지만 재원마련과 인력관리 등 미술관이 요구하는 자격을 제대로 갖춘 인물을 찾지 못해 “미국 내 주요 미술기관 22곳의 관장 자리가 공석”이라고 보도했다.
우리나라도 유일한 국립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자리를 놓고 인사혁신처가 공모를 진행 중이다. 종전 3년 임기 관장의 업적평가로 연임을 결정하던 것과 달리 현임 윤범모 관장도 공모에 응했고 10여 명의 인사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 달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2~3명의 최종 후보가 추려지고 신원조회, 역량평가 등을 거쳐 내년 초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새 관장을 임명할 예정이다. 이에 서울경제는 지난 22~23일 양일간 미술작가·기획자·평론가·미술행정·관련학과 교수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관장의 자격’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이 반드시 갖춰야 할 자격으로 응답자 301명 중 73%(220명·복수응답)가 ‘아시아 및 세계미술에서 한국미술의 위상을 정립할 역량’을 꼽았고 ‘한국미술의 해외 확산 및 해외 주요 전시의 국내 유치를 이끌 국제적 네트워크’가 69.4%(209명)로 뒤를 이었다. 미술계 전문가 3분의 2가 한국미술의 정체성 확립과 위상 제고 역량, 국제적 네트워크를 국립미술관 관장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 판단했다는 분석이다. 그 다음으로는 지속가능성과 환경문제 등을 고려한 ‘현대미술관의 전략적 비전 제시’(51.5%), ‘기업 스폰서십 유치 등 재원 확보를 포함한 경영능력’(41%), ‘지방 분관 확충, 직급 상향, 수장고 확보, 소장품 예산 증액 등 현안 타개의 실행력’(38.9%) 순으로 집계됐다. ‘국립현대미술관의 특수 법인화 등 장기 비전과 추진력’(36%), ‘미술관 안팎과 상부·외부 기관과의 소통능력’(32%)도 요구됐다.
국립현대미술관장으로서 ‘특정작가의 지원·배제 및 측근 챙기기를 위한 암묵적 지시 습관’을 가진 사람은 절대 안 된다는 의견이 80%(239명)에 달했다. 관장의 ‘정치적 편향성이 업무에 개입’하거나 ‘미술계 발전보다 관장 자리 자체가 목적인 사람’을 비롯해 ‘동시대미술에 대한 비전 결여’ ‘자신의 업적 강조에 치중하는 유형’도 부적절한 인물이라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현행 3년인 관장 임기에 대해서는 45.5%가 3년 임기 후 업적평가로 2년 연장을 택했고, 24%가 5년 임기 후 2~3년 연장, 12.3%가 5년을 선택했다. 전체의 약 82%가 5년 이상 임기의 관장이 안정성과 지속성을 갖고 미술관을 이끄는 것에 찬성했다. 미국은 뉴욕근현대미술관(MoMA)을 25년 이상 일관성 있게 이끈 글렌 라우리를 비롯해 관장으로 임명되면 평균 10년 이상 재직한다. 독일의 공립미술관(쿤스트페어라인)도 최소 5년 계약에 3년 연장 가능성을 내걸고 관장을 뽑는다.
현행 공모제 유지(51.2%)와 임명제 전환(48.8%)은 팽팽하게 맞섰다. 국립박물관 관장은 ‘임명제’인 반면 국립미술관은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조한 ‘공모제’로 뽑고 있으나 ‘내정설’ 등이 불거지는 불공정한는 경쟁방식, 관장 역량을 제대로 갖춘 인물들이 정작 지원하지 않는다는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다. 원로작가 박서보는 “임명제는 뒤로 (임면권자에게) 줄을 대고 비공개 불공정 거래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공모제도 허점 투성이”라고 지적하며 “국가대표 격인 미술관의 관장인 만큼 심사 과정에서 심사숙고하고 그때마다 여론에 귀기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