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10월 민영화 후 21년 만에 지주사 체제로 재탄생하는 포스코가 ‘물적 분할’ 방식을 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가칭)를 세우고 철강 사업 부문을 100% 자회사로 분할하는 것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인적·물적 분할 방식의 2가지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을 상정한다. 포스코에서는 물적 분할 방식에 힘을 싣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한 가지 변수는 있다. 사외이사들이 인적 분할 방식을 주장하는 경우다. 이 경우 난상토론을 거쳐 최종 안건이 선정된다. 인적·물적 분할 방식이 확정되면 내년 1월 임시 주주총회에서 이를 최종 확정한다.
일각에서는 인적 분할 가능성도 점쳐지지만 증권업계에서는 물적 분할 가능성을 더 높게 본다. 물적 분할 방식으로 지주사 전환이 이뤄지면 지주사인 포스코지주가 그룹 지배 구조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자회사로는 포스코 철강 사업회사(지분율 100%), 포스코케미칼(003670)(59.72%),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62.91%), 포스코건설(52.80%), 포스코에너지(89.02%) 등이 포진하게 된다.
포스코가 물적 분할을 선택한 배경으로는 기존 주주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물적 분할을 하더라도 자회사인 포스코 철강 사업회사를 비상장 상태로 둘 가능성이 크다. 기존 포스코 주주가 물적 분할 후 포스코홀딩스 주주가 되더라도 캐시카우인 포스코 철강 사업회사 실적이 고스란히 지주에 반영되므로 주주 반대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기차·2차전지·수소 등 미래 신사업도 비상장 자회사로 지주사 아래 두는 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적 분할 방식은 비용 측면에서도 이익이다. 포스코가 인적 분할을 택할 경우 철강 사업회사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수조 원의 자금이 필요하다. 내년부터 지주회사의 자회사 의무 확보 지분율이 20%에서 30%로 늘어나 비용 부담이 크다.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 추진 배경으로는 신성장 사업 투자가 우선 꼽힌다. 포스코의 시장 가치 제고도 주요 이유로 설명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