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은 17일 LG디스플레이(034220)에 대해 애플의 차세대 신제품 수혜를 볼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5,000원을 유지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 전체 매출의 42%를 차지(12조원)하는 애플의 차세대 신제품인 메타버스 XR 헤드셋(2022년 출시 예상)과 애플카(2025년 공개 전망)에 LG디스플레이가 메이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급업체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내년 1분기 액정표시장치(LCD) 패널가격 바닥과 대형 OLED 신규고객 확대 등으로 LCD와 OLED 실적의 동시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며 “내년부터 애플이 XR 헤드셋과 애플카 핵심 부품의 공급업체 선정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KB증권은 내년부터 LG그룹과 애플의 전략적 협업이 가시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올해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의 애플향 합산 매출이 23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아이폰 부품 공급을 통해 시장에서 이미 검증됐기 때문이다”라며 “한편 애플카는 LG디스플레이가 강점을 보유한 대형 OLED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인포테인먼트를 구현하는 동시에 아이폰, 아이패드와 기기 연동으로 다양한 iOS 서버를 제공할 전망이다”라고 했다. 그는 “2022년부터 LG디스플레이는 과거 의존도 높았던 LCD 사업에서 탈피해 OLED 중심의 사업구조 변화 가속화가 예상된다”며 “이는 내년부터 대형 OLED와 중소형 OLED 패널 사업이 9년 만에 동시 흑자전환이 전망되고, OLED 사업이 아이폰 중심에서 메타버스 XR, 아이패드, 맥북 등으로 확대가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KB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LCD TV 패널 매출비중 축소로 LCD 패널가격 등락에 따른 실적 영향이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경쟁사와 비교할 때 사업구조 변화를 고려한 중장기 시가총액은 11조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