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 당국의 대출 규제에도 시중 유동성은 줄지 않고 오히려 가파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의통화량(M2)은 1년 전보다 12.9%나 급증하면서 12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등 완화적인 금융 여건이 지속되고 있다. 한쪽에서는 과도한 신용 창출을 제어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대출을 조이고 있는데 다른 쪽에서는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며 시중에 돈을 풀고 있어 정책 엇박자가 나는 상황이다. 여기에 주가 하락세가 이어지자 주식 등 위험 자산을 팔고 예적금에 넣고 있는 현상도 관찰되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중 M2가 3,589조 1,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1%(39조 4,000억 원)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 10월(38조 원)에 이어 높은 증가세가 이어졌다. 특히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12.9%로 지난 2008년 12월(13.1%) 이후 12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M2는 시중 통화량을 보여주는 지표로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 입출금식 예금(이상 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 상품을 포함한다.
지난해 11월 가계가 보유한 M2는 한 달 만에 17조 2,000억 원이나 늘었다. 주택 관련 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와 주식 등 대체자산 매도 등으로 증가했다. 특히 주식 등 위험 자산을 팔고 현금화한 돈이 정기 예적금 등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 관계자는 “그동안 대출 등으로 일으킨 유동성이 주식·채권 등 위험 자산으로 흘러갔다가 예적금에 들어오는 현상이 포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증권 등 기타 금융기관도 19조 4,000억 원 증가했는데 주로 금융채, 금전 신탁, 정기 예적금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기업 역시 14조 5,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유상증자 등 직접 자금 조달 규모도 확대된 것에 기인한다는 설명이다.
상품별로 살펴보면 정기 예적금(13조 9,000억 원)과 금융채(6조 1,000억 원)가 주로 증가했다. 두 상품 모두 수신 금리 상승에 예대율 관리를 위한 자금 유치가 이뤄지면서 큰 폭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수익 증권은 5조 3,000억 원 증가했다. 당장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는 1,350조 1,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M1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17.6%로 지난해 2월(26.0%) 이후 증가율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