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식당 사장이었는데.."…알바 뛰는 50대 가장의 눈물[코로나 2년]

배달 라이더도 젊어야 가능하지 50대는 폐업도 못해

금리 오르면 빚 더 늘텐데 올해는 어떻게 버틸지 막막해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가 나온 후 2년이 지났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30만7,700명이 폐업했다. 19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 내 대다수의 상점들이 폐업 또는 휴업한 상태로 방치돼 있다. /오승현 기자




“저는 사장이었습니다. 지금은 식당 직원으로 일하고 있어요. 코로나로 작년 10월에 폐업하고 한 달 놀다가 갈비집 종업원으로 취직했어요.”

코로나19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지 2년이 되는 20일 이 모씨는 서울경제에 이같은 사연을 전했다. 지난 2015년 닭백숙, 닭볶음탕집을 개업해서 2년 쯤 고생하다 3년쯤인 2019년 자리를 겨우 잡았는데 2020년 코로나 사태가 터진 것. 사이드 메뉴인 우동과 잔칫국수가 맛있다고 입소문이 나면서 구로구에서는 나름 자리를 잡아가던 차라 폐업을 결심하기도 쉽지 않았지만 결국 영업시간·인원제한이 반복되면서 가게 문을 닫았다. 코로나 터지고 금방 지나가겠지 했는데 장기화 되고 더욱 심각한건 정부에서 영업제한, 손님수 제한을 하다 보니 매출 떨어지고 결국 임대료도 못내는 상황까지 간 것. 그는 “결국 버티고 버티다 작년 10월에 폐업하고 한달 놀다 갈비집 종업원으로 취업했다”며 “내가 숯불은 잘 피운다. “아~ 옛날이여. 지난시절 다시 올수 없나. 그날이여”라는 이선희의 노래가 자주 머리에 멤돈다”다며 쓴 웃음을 지어 보였다. 그는 이어 “코로나 자체를 원망해야 할까 아니면 이런 상황에서 자영업자를 다 죽인 정부를 원망해야 할까”라며 “사장에서 직원이 되니 힘들다”며 애써 보이던 웃음도 거둔 채 씁쓸하게 말했다.



영업시간·집합금지 등으로 치명타를 입은 노래방 등 업종 종사자들 상황도 마찬가지다. 영등포구 문래동에서 10년째 노래방을 운영 중인 50대 A씨는 “모든 걸 내려놓고 체념한 상황”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더니 이어 “한 달에 매출이 600만원 정도는 나와야 임대료랑 고정비를 내고 남는 게 있는데, 지금은 하루 20만원 팔기도 힘들다”며 "공치는 날도 많다"고 했다. 늘어나는 빚도 A씨의 가장 큰 근심이자 부담이다. 그는 "빚이 빚을 낳는다. 현재 대출 당겨 쓴 게 3,000만원 정도 있고 노후 대비 자금으로 모아 놓은 돈을 계속 까먹고만 있다"며 "폐업 생각도 했지만 언젠가는 살아나겠지라는 생각으로 버티고 있다. 입에 풀칠만이라도 할 수 있게 도와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코로나 이후 폐업 점포가 60만 개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지만 그나마 폐업을 하고 배달 시장으로 뛰어든 이들은 일부라는 게 현장의 분위기다. 자영업자 대부분이 50대 이상으로 배달앱으로 주문을 받고 배달을 나가는 것자체가 어렵다는 것. 큐알코드도 어려운데 배달 콜을 받아 배달을 하는 것은 상상도 못한다는 것. 물론 체력도 따라주지 않는다. 성동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성규선 씨는 “배달로 이직하는 것도 젊은 사람이나 하는 거지, 우리처럼 50대 이상은 그것도 못한다”며 “그런데 소상공인 대부분이 50대 이상일 거다. 공인중개사 시험 준비 같은 것도 머리 팍팍 돌아가는 젊은이들이나 하는 거고 그래서 가게 문 닫으려고 해도 못 닫는다”고 전했다.

지난해 말부터 오르기 시작한 기준금리는 소상공인을 더욱 옥죄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기준금리가 꾸준히 오르기 시작해 최그니 1.25%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 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기준금리 오르면 소상공인 금리 젤 먼저 올린다"며 “소상공인이 대출을 최대로 땡길 수 있는 게 1억 8,000만원인데, 이자율이 13%까지 올라갔다. 1억만 대출 받아도 한달에 130만원”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그는 이어 “소상공인은 대출 심사가 1년이 아니라 3개월 단위다. 소득 증빙해서 대출 기한 연장하는데 소득이 지금 이렇게 없으니 이자율 올릴 거고 상환도 같이 해야할 것”이라며 “연체가 생기면 바로 또 서류 떼야하고, 서류 떼서 가다 보면 일을 못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를 향해 “100만 원, 500만 원 준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며 “보다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으라”고 비판을 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