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오미크론 감염자의 치명률이 델타 변이의 5분의 1 수준인 0.16%로 나타났다.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델타보다는 낮지만 인플루엔자보다는 높은 수준이라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오미크론 감염자 중 3차 접종까지 마친 이들도 12.7%에 달해 돌파감염 비중도 상당했다. 델타보다 전파력이 2배 이상 높아 하루 확진자는 이번 주 1만 명을 넘을 가능성이 높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4일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9,8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확진자 중 사망자가 누적 6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90대와 70대가 각 2명이고 80대와 60대가 각 1명이었으며 모두 기저질환이 있었다. 감염자 중 사망자는 0.06%지만 연령 분포 차이를 보정해 표준화한 치명률은 0.16%로 계산됐다. 이는 델타 변이 치명률(0.8%)의 5분의 1 수준이다. 그동안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캐나다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치명률이 델타 변이 감염자 치명률의 4분의 1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었는데 국내에서는 이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중 위중증 환자는 모두 11명(0.11%)으로 70~80대가 8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60대, 40대, 10세 미만이 각 1명이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국내와 해외 현황을 종합하면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도는 델타 변이보다 낮지만 인플루엔자(독감)보다는 다소 높다”며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인해 고위험군 확진자가 증가하면 위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중증·사망자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이어 “특히 단기간 내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다면 사회적 피해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상당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을 다시 감염시키기도 하고 백신 접종자를 감염시키는 돌파감염력도 델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자 중 미접종자(접종력 확인 불가 사례 포함)는 3,624명(36.8%)으로 확인됐다. 1차 접종만 마친 사람은 208명(2.1%), 2차 접종을 마친 사람은 4,774명(48.4%), 3차 접종자도 1,254명(12.7%)으로 집계됐다.
방대본은 이달 3주차 국내 확진자의 오미크론 검출률이 50.3%로 증가하면서 주말 사이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됐다고 평가했다. 해외 유입 확진 사례에서는 97.5%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다. 방역 당국은 일단 26일부터 광주·전남·평택·안성 등 4개 지역에서 오미크론 대응 체계를 먼저 시행하고 국민 수용성 등 추이를 지켜본 뒤 전국으로 확대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이달 말 유전자증폭(PCR) 검사 외에도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하도록 검사 체계를 개편하고 동네 의료기관이나 호흡기클리닉에서 진단검사를 진행하는 부분은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다만 확진자, 밀접 접촉자의 자가격리 기간 단축이나 면제는 26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다. 방대본은 앞으로 확진자 중 접종 완료자(3차 접종 후 14일 경과 또는 2차 접종 후 90일 이내)는 7일간, 미접종자 및 접종 미완료자는 10일간 격리하도록 격리 지침을 변경한다. 또 밀접 접촉자의 경우 접종을 완료했다면 자가격리 없이 일상생활(수동 감시)을 하도록 하고 밀접 접촉자 중 미접종자 등은 7일간 격리한다. 다만 접종력과 상관없이 6∼7일 차에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당장 이번 주에 하루 1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전국 오미크론 대응 체계 도입을 최대한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재훈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당초 예상보다 오미크론 우세종화가 빨라졌고 속도도 빨라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현재 정부의 지침 마련이나 가이드라인 제공이 늦어지고 있어 최대한 빨리 이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설 연휴 이후에는 기존 의료 체계로 검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확진자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른 조치와 대응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